[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현대차그룹의 작년 매출액이 전세계 13대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4위를 차지했지만, 연구개발(R&D) 투자액은 10위에 그쳤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지난 7일 13개 자동차 그룹의 작년 R&D 투자 동향을 조사한 '2020년 주요 자동차그룹의 R&D 투자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R&D 투자액은 테슬라만 전년 대비 11.0% 증가했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했다.

R&D 투자액 규모는 폭스바겐이 전년 대비 2.9% 감소한 138억8500만유로로 1위를 기록했고, 도요타(-1.8%)와 다임러(-10.6%)가 각각 86억2000만유로와 86억1400만유로로 뒤를 이었다. 포드(63억2400만유로, -4.1%)와 BMW(62억7900만유로, -2.2%), 혼다(61억6700만유로, -5.0%) 등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35억7600만유로로 10위에 그쳤다.

보고서는 테슬라를 제외한 다른 기업의 매출액과 R&D 투자액은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 현대차그룹의 경우 매출액은 전년 대비 0.4% 감소하고 R&D 투자액은 0.5% 감소해 예년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그룹의 매출액은 폭스바겐과 도요타, 다임러에 이어 4위를 차지하며 포드와 GM 등을 제쳤다.

다만 현대차그룹의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2.9%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낮았다. 닛산(6.4%)과 르노·BMW(6.3%), 폭스바겐(6.2%) 등 다른 기업들과 차이가 컸다.

보고서는 R&D 투자가 고부가가치 제품력, 전동화,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R&D 투자 규모가 1위인 폭스바겐 그룹의 경우 아우디, 벤틀리, 포르쉐 등 3개 프리미엄 브랜드의 그룹 내 판매대수 비중은 23.3%(130만대)에 불과하나 매출액 비중은 42.9%로 약 1.8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현대차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판매가 12만9000대로 전 세계 판매(374만대)의 2.9%에 불과하기 때문에 R&D 투자를 늘리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전동화 역시 R&D 투자 비중이 높은 폭스바겐과 다임러 등이 본격 추진하며 3년 만에 중국 등을 제치고 시장주도권을 탈환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순수전기차(BEV) 모델을 2017년 4종에서 2020년 10종으로 확대했지만 GM(9종), 폭스바겐(16종), 다임러(8종) 등이 R&D 투자를 확대하며 급속히 추격하고 있다.

BEV 시장 점유율도 현대차그룹은 2020년 6.3%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폭스바겐은 10.5%로 5.9%포인트 늘렸고, GM도 10.8%로 5.0%포인트 늘렸다.

자율주행 역시 독일 아우디와 일본 혼다 등이 이미 자율주행 레벨3를 출시했고 다임러, BMW, GM 등이 올해 안에 레벨3를 출시할 예정인 반면 한국은 2022년말 양산 출시가 예정되는 등 1년 정도 뒤처져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는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의 R&D 투자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원인으로 매출액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 정부의 대기업 차별적인 정책 등을 꼽았다.

먼저 임금 등 비용 부담으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낮아 R&D 투자 여력이 부족한 것이 문제라고 봤다. 외국 경쟁기업의 영업이익률은 도요타(8.1%), 테슬라(6.3%) 등 4∼8%대지만 현대차그룹은 2.7%에 불과하다.

또 정부의 예산 배분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중소기업 위주로 이뤄져 대기업이 오히려 소외되는 상황도 문제로 지적됐다.

2019년 국가연구개발비는 출연연 40.0%, 대학 24.4%, 중소기업 15.0%, 중견기업 6.9%, 국공립연 5.1%, 대기업 1.8% 순으로 배분됐다. 반면 R&D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인 삼극특허(미국, 유럽, 일본에 모두 출원된 특허)의 경우 대기업은 전체 특허 중 6.8%지만 대학은 0.9%, 중소기업 1.5%, 중견기업 3.8%로 낮았다.

대기업의 R&D 세액 공제가 투자액 중 0∼2%에 불과해 프랑스(30%), 영국(13%), 캐나다(15%) 등 선진국보다 낮은 점도 지적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기업은 R&D 투자여력 확보를 위해 노사화합, 임금안정 등을 통해 비용절감과 영업이익률 제고에 노력하고 정부는 글로벌 기업과 동등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대기업 차별적인 R&D 지원을 과감히 폐지해야 한다"며 "특히 차량용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소차 관련 부품소재기술, 배터리 등 미래차 관련 주요기술은 조속히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늘려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