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카이 등 300여 기업 참여
누리호 발사로 우주개발 역량키워

발사대로 이송해 기립장치에 기립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과기부 제공
발사대로 이송해 기립장치에 기립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과기부 제공

온전히 국내 기술로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사업에 국내 기업들도 대거 참여하며 우주산업 확장에 함께 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하루 뒤인 21일 1차 발사를 시도하는 누리호 개발 사업에 국내 기업 300여곳에서 500여명이 참여했다.

누리호 전체 사업비의 80%인 1조 5000억원이 참여 기업에 쓰였다.

정부는 누리호 개발을 통해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업들의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자 했다. 개발 초기부터 산·연 공동연구센터를 구축하고 기술 이전을 지원했다.

대표적으로 한화와 한국항공우주(KAI)가 누리호 사업에 참여했다.

KAI는 2014년부터 누리호 사업에 참여하며 누리호 체계 총조립을 맡았다. 300여개 기업이 납품한 제품 조립을 총괄하는 역할이다. 누리호 1단 연료탱크와 산화제 탱크도 제작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엔진, 터보펌프, 시험설비 구축 등에 참여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납품한 '75톤 액체로켓 엔진'은 누리호의 핵심 부품이다. 발사체가 중력을 극복하고 우주궤도에 도달하는 동안 극한 조건을 모두 견뎌낼 수 있도록 제작됐다.

누리호 연소 시험은 현대로템, 발사대는 현대중공업이 제작했다. 이들 대기업을 비롯해 두원중공업, 에스앤케이항공, 이노컴, 한국화이바 등 수많은 우주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도 누리호 사업에 함께 하며 기술력을 쌓았다.

정부에서는 이번 누리호 개발·발사를 통해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을 '뉴 스페이스'(New Space)로 바꾸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우주산업은 정부 주도의 정책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고 있다.

KAI는 경남 사천에 '민간 우주센터'를 건설 중이다. 설계-제작-조립-시험을 우주센터 한 곳에서 진행해 우주 기술 개발 인프라를 최적화한다는 계획이다.

KAI는 누리호 기술을 기반으로 발사체 체계종합기술을 강화하고 앞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우주 전문 기업으로의 입지를 키워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 관련해 KAI는 올해 2월 '뉴 스페이스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한화그룹은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협의체 '스페이스 허브'를 올해 3월 출범시키고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스페이스 허브는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이사가 리더를 맡아 이끌고 있으며,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그리고 한화가 인수한 인공위성기업 쎄트렉아이가 참여하고 있다.

한화는 올해 5월 카이스트(KAIST)와 스페이스 허브 우주연구센터를 설립해 위성 간 통신 기술을 공동 개발 중이다.

한화시스템은 우주 인터넷의 핵심 기술인 위성통신 안테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해외 선진 기업들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6월 영국의 위성통신 안테나 전문 기업인 '페이저 솔루션'의 사업을 인수해 한화페이저를 설립했다. 지난해 12월에는 미국 '카이메타'에 약 330억원을 투자해 카이메타의 위성 안테나 제품 한국 시장 독점 판권을 확보했다.

특히 한화시스템은 올해 8월 글로벌 우주 인터넷 선두 기업 '원웹'(OneWeb)에 약 3500억원을 투자하고 이사회에 합류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