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인 정치상황이 환율 급상승의 부정적 여파 키울 수 있어

원-달러 환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다 1,200원 선을 넘어섰다.

미 연준(Fed, 연방준비제도)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전부터 슬금슬금 오르기 시작했던 원-달러 환율이 지난 23일 전날보다 달러당 3.9원 오른 1,203원으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3월 10일 기록한 1,203.5원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미 연준이 내년에도 최소 세 차례 금리인상을 예고한 바 있어, 이 같은 달러 강세 기조는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zimbio.com

전문 패널들도 이구동성으로 달러 강세를 점치고 있다. 모건 스탠리는 원-달러 환율이 2분기 1,250원, 3분기 1,275원을 찍은 후 연말 경 1,300원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RBC캐피털은 거기서 더 나아가 2분기에 1,310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초에 출범할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및 자국 중심 경제정책이 이러한 관측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금융당국의 거시 환율정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환율이 급상승할 경우, 통상 외환당국은 급격한 환율 변동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른바 스무딩 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이라 불리는 미세조정에 들어간다.

그러나 국내 경기변동 요인과 각종 대외 불확실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은 때때로 해외 투자자들의 배만 불리며 국가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할 수 있다.

1997년 IMF 외환위기를 불러온 김영삼 정권과 2008년 세계 4위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 파산 당시 극심한 고통을 안겨주었던 이명박 정권의 잘못된 외환시장 개입이 단적인 증거이다.

미 연준의 세 차례 금리인상이 예고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외환시장 개입에 대해 크게 염려할 수준은 아니다. 외환보유고가 세계 8위 수준이라 대외 건전성도 크게 걱정할 것 없다.

그러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국정농단 및 국가권력 사유화 사태가 늦으면 2017년 8월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등 대내적인 불확실성이 한국경제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라, 대외적인 불확실성의 무게가 더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경제에 큰 임팩트를 주기 어려운 대외 불확실성이라 할지라도 허약한 정치상황과 만날 경우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는 이유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