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하자니 가계부채가, 계속 동결하자니 해외자금이탈이 발목 잡아

| 1.25%에서 묶여 있는 기준금리, 한은 고심 깊어져
| 진퇴양난에 빠진 한국은행, 불확실성 제거 전까지 동결 전망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확대되는 대내외 불확실성을 근거로 현 1.25%인 기준금리를 또다시 동결했다.

2016년 6월에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사상 최저인 1.25%로 인하된 기준금리가 지금까지 7개월째 요지부동이다.

▲ 올해 제1차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뉴시스

이번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는 올해 세 차례 예정되어 있는 미 연준Fed의 금리인상,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는 영국과 유럽연합EU의 브렉시트Brexit 협상,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 등 선거를 앞둔 유로존 국가들의 정치적 불확실성, 그리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국내 정치적 리스크 등이 꼽힌다.

특히 지난해 12월에 단행된 미 연준의 0.25%p 금리인상 기조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금리 차이를 노리고 한국에 들어와 있던 해외자금이 이탈할 우려와 1,300조 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등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섣불리 올릴 수 없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된다 해도, 한국은행은 따라갈 수 없는 진퇴양난에 빠져 있는 형국이다. 해외자금의 이탈을 막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경우, 1,300조 원의 가계부채 중 58%가량을 차지하는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자 비중 탓에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이고, 이는 장기 침체를 겪고 있는 내수 경기에 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3조5,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된 ‘2016년 12월중 금융시장 동향’(1월 12일 발표) 자료도 이처럼 앞뒤로 꽉 막힌 금리정책의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

시장의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처한 현 상황에 대해,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가계부채에 대한 유효한 해결방안이 나오기 전까지, 국외적으로는 주요국들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방향성을 드러내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제거되기 전까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