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슈 점검] 군산·GM협력사 벼랑길로 몰려

"군산 공장 가동은 전면 중지됐습니다." 한국지엠(GM)에 부품을 납품하는 회사 중 가장 규모가 큰 한 업체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 상황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자동차 시트를 생산하는 이 업체의 군산 소재 공장은 이번 일로 가동이 전면 중지된 상태. 이 업체의 군산 소재 공장은 한국지엠 군산공장에 생산품 전량을 납품한다.

20일 서울 종로구 미국대사관 앞에서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규탄 연설회
20일 서울 종로구 미국대사관 앞에서 한국지엠(GM) 군산공장 폐쇄 규탄 연설회

이 업체가 운영 중인 공장은 총 4곳으로 모두 한국지엠에 물품을 전량 공급한다. 그나마 군산 소재 공장 이외 다른 공장들은 아직 가동 중에 있다.

지난 13일 한국지엠의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한국지엠에 부품을 납품해온 업체들은 차츰 가시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해당 업체들은 아직 공식적으로 실태 파악에 나서진 않았지만 조만간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한국지엠 군산공장에만 납품을 하는 업체들은 이번 폐쇄 결정의 직격탄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측은 “한국지엠 전체로 봤을 때는 덜 위험할 수 있겠지만 군산공장에만 납품하는 회사들이 있다”면서 “당장 일자리가 없어지진 않겠지만 그런 문제들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동조합에 따르면 부품을 한국지엠에만 납품하는 회사는 총 86개사다. 한국지엠에 납품하는 비율이 50% 이상인 업체로 넓혀보면 총 161개 업체까지 늘어난다.

협동조합 관계자는 "특별히 애로사항이 있는지는 조사하지 못했다”면서도 "단독거래 업체를 포함해서 (납품비율) 50%이상 (업체들)까지도 애로를 겪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협동조합에 따르면 한국지엠 협력업체 총 301개사에 종사하는 종업원 수는 9만3000명이다. 한국지엠에만 부품을 납품하는 86개 업체 종업원은 1만713명이다.

한편 대구경북연구원 윤상현·임규채 박사는 21일 ‘지엠 군산공장 철수, 지역 자동차부품산업 경쟁력 강화 계기로 삼아야'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지역경제에 군산공장 폐쇄 영향은 크지 않지만, 대구·경북 지역제조업 1차제품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이 보고서는 분석 대상을 대구·경북 지역 납품업체에 한정짓고 있지만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인한 영향을 짐작해볼 수 있는 자료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폐쇄에 돌입할 경우, 2016년 군산공장 생산량 기준으로 대구 자동차부품은 182억7000만원, 경북 자동차부품은 100억2700만원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특히 경북지역의 경우 자동차 연관 산업인 철강 1차제품의 생산량이 180억3900만원으로 높은 편에 속해 자동차부품보다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상황에서 전북지역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사태에 대한 대책마련을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20일 성명을 통해 "정치권이 이해관계를 넘어 민·관·정을 망라한 TF(특수임시조직)를 구성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으로 군산지역 경제가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 지난해 군산조선소 폐쇄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라 파장이 더 크다"면서 "지엠 군산공장 폐쇄 가능성은 오래전부터 예고된 일이다. 가동률이 20%로 떨어졌는데도 대응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책 마련을 위해 우선 할 일은 대량실업으로 생존 위협을 받고 있는 협력 업체 직원을 포함한 노동자들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하는 일이다"며 "한국지엠을 철저히 조사해 섣부른 공적자금 투여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도 이날 지엠 군산공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지엠은 구조조정 이유로 낮은 가동률과 만성적자를 들고 있지만 둘 다 지엠에 귀책사유가 있는 사항이다"며 "한국 공장에 물량을 배정하지 않는 동안 중국과 북미에 수조원 이상 투자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지엠은 협력사와 연관 산업까지 포함해 30만면의 노동자 생계가 달린 기업이다"며 "정부는 원칙을 다잡고 단호해야 한다. 무엇보다 노동자의 고용과 생계를 감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