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과 북미회담 결과 공유...협력안 도출 집중할 듯
국정운영 위한 검경수사권·개각 등 국내 현안도 산적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순방을 하루 앞둔 20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러시아 타스(TASS)통신사·국영 방송 러시아1과 러시아24·로시스카야 가제타(Rossiskaya Gazeta) 신문사 합동 취재단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순방을 하루 앞둔 20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러시아 타스(TASS)통신사·국영 방송 러시아1과 러시아24·로시스카야 가제타(Rossiskaya Gazeta) 신문사 합동 취재단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1일부터 2박 3일 동안 러시아를 국빈 방문한다. 지난해 9월 동방경제포럼(EEF) 참석차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한 적은 있지만 실무 방문 형태였다.

6·12 북미 정상회담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시선은 '포스트 싱가포르' 국면에 닿아있다. '센토사 합의'의 동력을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 한반도 주변국들을 설득하는 계속된 중재외교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기간 동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한·러 정상회담을 갖고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미 종전선언 추진 과정에서 러시아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핵 6자회담국 가운데 하나인 러시아는 남북미중 4자 정상의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 일본과 함께 보증인 형태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러시아의 협력 없이는 종전선언 추진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관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러시아 하원에서의 연설을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러시아를 비롯한 한반도 주변국들의 역할이 중요성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정세를 안보이익이 아닌 자국의 경제이익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 러시아에 추후 남북·북미관계 개선 국면에서 참여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깊게 거론될 수 있다. 작년 9월 제시했던 '나인 브릿지 전략'의 세부 발전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나인 브릿지 전략은 극동개발 정책이 담긴 문재인정부의 '신 북방정책' 중 하나로, 한·러 사이에 가스·철도·항만·전력·북극항로·조선·일자리·농업·수산 등 9개 분야에서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남북 간 철도연결 협력 논의가 구체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의 연결은 러시아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유인책으로서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다. 

러시아 국빈방문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1일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러시아 국빈방문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1일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그러나 외교안보 사안에만 집중하기에는 국내 현안이 적지 않다. 수면 위로 떠오른 검경 수사권 조정안, 개각, 청와대 개편 등 6·13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 온 과제들이 문 대통령 앞에 산적해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문무일 검찰총장, 이철성 경찰청장 등과 오찬을 함께하며 검경수사권 조정안을 최종 논의했다. 경찰의 수사권을 폭넓게 인정해주고, 검찰은 사후·보충적으로 경찰을 통제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문 총장은 문 대통령과의 독대 자리에서 검찰 내부의 반발 등에 대한 우려를 강력히 전달한 점에 미뤄볼 때 최종 조율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최종안은 추가 문 대통령의 러시아 순방 이후 발표될 가능성이 나온다.

6·13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문재인정부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할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조금씩 강해지고 있다. 전당대회 준비를 앞두고 있는 여당의 내부 상황과 청와대 2기 개편도 맞물려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개각 등과 관련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견지하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 발로 개각설이 나온다면 현직 장관의 업무수행에 지장을 줄 수 있고, 국정에 공백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해 일부 외교안보 부처 장관을 제외한 소폭의 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국회의원 출신의 장관의 임기가 1년 이상 길지 않았던 점에서 교체 대상이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그렇지만 사람을 쉽게 바꾸지 않는 문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에 비춰볼 때 최종 개각의 폭과와 대상자는 전적으로 대통령 결심에 달렸다는 관측도 상당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