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서 철도회의 개최…北 "협력 의지 변함없어"
환서해권·환동해권·접경지대 등 3개 경제벨트 구축

남북 간 철도 연결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차관급 회의가 26일 오전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렸다. 김정렬 국토교통부 차관과 김윤혁 철도성 부상을 각 수석대표와 단장으로 한 3대3 철도협력 분과회의 전체회의를 진행했다. 

남측에서는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과 손명수 국토부 철도국장이, 북측에서는 계봉일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국장과 김창식 철도성 대외사업국 부국장이 각 대표로 참여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7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통해 양측은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해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며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해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동해선은 부산에서 출발해 북한을 관통해 러시아와 유럽까지 달리는 노선이며, 남측에서는 강릉∼제진(104㎞) 구간이 단절돼 있다.사진은 2017년 6월 21일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동해선 철로 위에 잡초가 피어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7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통해 양측은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해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며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해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동해선은 부산에서 출발해 북한을 관통해 러시아와 유럽까지 달리는 노선이며, 남측에서는 강릉∼제진(104㎞) 구간이 단절돼 있다.사진은 2017년 6월 21일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동해선 철로 위에 잡초가 피어 있다. 뉴시스

북측 김 단장은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렇게 만나기까지 많은 세월이 흘렀고, 그러나 북남 철도협력 사업에서는 쌍방의 마음과 의지는 변함없다고 생각한다"며 "두 줄기 궤도에 곡성이 있을 수 있지만 민족이 동맥을 하나로 이어나가는 쌍방의 마음과 의지에는 곡성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판문점선언에서 동·서해 철도를 연결하고, 현대화하고, 활용할 데 대한 문제가 제시된 것은 북남 철도협력 사업에서의 전환적 국면을 열어나가는 거창한 전개도라고 생각한다"며 "경제 사업에서 철도는 경제의 선행관이라고 말하고, 또 북남 철도협력 사업이 경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영예롭게 책임적인 사업을 쌍방이 지혜와 힘을 합쳐 함께 나가게 되면 민족 앞에, 겨레 앞에 좋은 감정은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남측 김 수석대표는 "우리나라 앞으로의 역사,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아주 어깨가 무겁게 느껴진다"며 "오늘 단비가 흠뻑 내리고 강물도 불어나고 그래서 남북 간 좋은 일이 있을 것 같다. 오늘 회의도 아마 철도 연결에 대해, 또 철도 현대화에 대해 좋은 성과가 있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답했다. 

북측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전체회의를 공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며 남측의 의견을 물었으나 남측에서 회의의 효율적 진행을 위해 비공개로 할 것을 제안, 북측이 이를 수용하면서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날 전체회의는 65분간 이뤄졌다. 남북은 모두발언에 이어 철도협력과 관련한 상호 입장을 교환했다. 이후 수석대표 접촉 등의 방식으로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남북은 이날 분과회의에서 향후 철도 연결과 현대화를 위한 실태조사 방식과 일정 등에 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제사회 대북제재 등의 영향으로 이날 회의에서 당장의 사업 계획을 확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2007년 10·4선언 채택 후 철도 실태조사를 시작했으나 이후 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됐다. 이후 10여년이 지난 만큼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정부는 지난해 출범 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를 구상하며 그 핵심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제시했다. 아울러 4·27 판문점선언에 남북 간 철도 연결과 현대화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정부는 부산에서 원산과 나선을 거쳐 러시아까지 이어지는 환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 전라도와 수도권을 지나 개성과 신의주를 거쳐 중국까지 이어지는 환서해권 교통·물류·산업벨트, 비무장지대(DMZ) 가로지르는 접경지역 환경·관광벨트 등 3대 경제벨트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