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강행여부에 국내 철강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텍사스 주 알링턴에 있는 제너럴모터스(GM) 공장의 모습.
미국 텍사스 주 알링턴에 있는 제너럴모터스(GM) 공장의 모습.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지난 5월 수입 자동차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를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 될 경우 미국은 수입차에 대해 최대 25% 관세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달 초 적용 여부가 공식화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등 국내 완성차 업계의 미국 수출이 감소할 수 있고 이들 업체에 자동차 강판을 공급하는 철강업체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국내 완성차 업계가 취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관세 가격 인상분을 제품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늘어난 관세만큼 올라간 차값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 하락이 불가피하고 수출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수출 감소는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소재를 공급하는 철강업계의 매출도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관세가 상승해도 가격을 올리지 않는 방법도 있지만 원가 부담이 관세 인상분 만큼 올라가기 때문에 소재 공급사도 원가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철강 제품 가격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뤄져 있는데 완성차 업계에서 강판 가격 동결을 강하게 요구할 경우 철강업계의 입장이 애매모호해진다. 

손해를 보고 강판을 공급할 지 아니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제품에 반영해야 할 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말이다. 원가 부담감으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피해는 국내 완성차 업계에 강판을 공급하고 있는 현대제철과 포스코다. 

현대·기아차에 자동차 강판을 납품하고 있는 현대제철은 특수강, 선재 등 연간 450만~500만t 가량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올해 초 원자재 가격이 인상됐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기아차의 실적 하락을 고려해 자동차 강판 가격을 동결을 감내했다.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현대기아차의 수출이 감소할 경우 현대제철도 자동차 강판 판매를 통한 손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르노삼성, 한국지엠에 강판을 공급하는 포스코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물량에 대한 자동차 강판 공급이 전체 수출 비중에서 크지 않은 만큼 미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내리는 지 지켜본 뒤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 관세를 25% 인상할 경우 자동차 가격을 올리든지 아니면 생산 원가가 25% 오르게 될 것"이라며 "두 경우 모두 소재 공급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