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이트뉴스 김세헌기자] DR무용론과 함께 KT 등 대기업들의 시장진출로 무너진 시장질서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DR사업은 전기를 아낄 여력이 있어 수요관리(DR)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기업들만 참여하는 제도다. 

DR이란 신뢰성이 검증된 수요자원에 대해 발전자원과 동일자격이 부여된 일종의 발전소다. 수급상황이 급변할 때 긴급하게 가동되는 비싼 발전기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1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이 전력거래소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 여름 폭염으로 연일 역대 최대전력수요를 경신하면서 DR발령기준에 부합된 횟수는 총 7회였다.

그러나 전력당국은 하계휴가를 앞두고 기업들의 생산차질과 전력수급상황을 종합 감안해 DR발령을 한 차례도 발동하지 않았다. 특히 지난 3년간 신뢰성DR은 총 14번 발령됐으며, DR업체에 지급된 용량요금(일종의 보상성격)은 3년간 4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 발전기는 매일 매일 가동을 하는 반면, DR은 경제성 DR이라고 해서 매일 입찰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목표수요를 초과하거나 전력수급상황을 고려해 발동한다. 4000억원이 넘는 돈이 수요관리사업자와 고객인 공장 등에 지급된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해부터 KT가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정상 마진 이하의 낮은 수수료율을 제시하며 마구잡이식 고객 유치에 나서면서 DR 시장의 수수료 경쟁이 치킨 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