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산업 된 ‘힐링’, 한국은 시장 형성 단계
슬로푸드, 슬로비족→보보스→웰빙→힐링 진화
국내 힐링산업 시장규모 75조9,800억 원 추산
최소 6조8,670억 원 규모로 성장한 힐링투어
뷰티(5조5,000억), 푸드(7조4,500억), 의학(3조)


지난 7일 황주홍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과 (사)힐링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스트레이트뉴스와 ㈜서울스피커스뷰로가 주관하는 <2018 ‘힐링’의 산업적 전망과 과제> 정책세미나가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힐링산업의 컨텐츠를 발굴해 활성화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기획됐다. 이개호 농림축산식품수산부 장관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이시형 힐링산업협회 명예회장 등이 참가하고,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문화체육관광부, 산림청, 농촌진흥청, 한국관광공사 등이 정부 부처 힐링 모범사례를 소개했다. 스트레이트뉴스는 힐링 비즈니스가 하나의 산업으로 등장한 배경과 국내 힐링산업의 현주소 및 전망을 살펴보는 특집을 마련했다.<편집자주>

<목차>
① 왜 힐링인가?
② 4,700조원 세계힐링산업을 잡아라
③ 76조원 한국 힐링산업, 과제는?(1)
④ 76조원 한국 힐링산업, 과제는?(2)

[스트레이트뉴스=김태현 선임기자] 세계 최고의 자살율과 이혼율, 음주율, 저출산율, 세계에서 가장 빠른 1인 가구 확산 및 고령화 진전 속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행복지수,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들이다. 산업화는 경제적 풍요의 대가로 정신적 여유와 안정을 앗아갔다.

성과주의사회(Leistungsgesellschaft)는 인간을 능력으로 평가하고, 무한경쟁사회는 현대인들을 끊임없는 자기계발 전선으로 내몬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가족이나 친구, 공동체로부터 일상적인 배려와 공감, 위로를 받기가 어려워진다. 삶에 대한 의욕 따위는 잊은 지 오래다. 사회에 의한 개인 소외다.

성과주의사회가 낳은 대표적 질병, 소진증후군(자료:talentculture) ⓒ스트레이트뉴스
성과주의사회가 낳은 대표적 질병, 소진증후군(자료:talentculture) ⓒ스트레이트뉴스

이런 현실을 반영이라도 하듯, 한국인의 긍정적인 경험이나 사회적 신뢰도, 사회에 대한 관용은 OECD 평균치를 밑돈다. 고단하고 버거운 삶, 바로 사회학자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Risikogesellschaft)’와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Müdigkeitsgesellschaft)’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실상이다.

당연히 ‘잘 살고(well-being) 싶다’는 생각, 육체적ㆍ정신적으로 조화된 건강한 삶에 대한 갈망, 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의 상처를 치유하려는 욕구가 확산될 수밖에 없다. 이것이 힐링(Healing)의 정의다.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한 ‘힐링’

1980년대 중반 유럽에서 시작된 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은 90년대 느리게 살자는 슬로비족(slow but better working people), 부르주아(Bourgeois)의 경제적 실리와 보헤미안(Bohemians)의 정신적 안정을 추구하려는 보보스(bobos) 운동을 거쳐 2000년 무렵 복지와 행복, 안녕을 포괄하는 웰빙(well-being) 개념으로 발전했다.

1980년대 중반 유럽에서 시작된 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은 지금도 테라푸드, 컬러푸드 등 힐링푸드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엄마와 아이가 미국 콜로라도 덴버시의 한 슬로우푸드 전시 매장을 구경하고 있다.(자료:slow food USA) ⓒ스트레이트뉴스
1980년대 중반 유럽에서 시작된 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은 지금도 테라푸드, 컬러푸드 등 힐링푸드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엄마와 아이가 미국 콜로라도 덴버시의 한 슬로우푸드 전시 매장을 구경하고 있다.(자료:slow food USA) ⓒ스트레이트뉴스

유럽 다음으로 웰빙 추세를 받아들인 국가는, 1985년 이후 누적되던 자산버블이 90년대 초에 붕괴돼 장기적 저성장으로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됐던 일본이다. 슬로우푸드와 보보스는 일본 특유의 힐링 비즈니스인 ‘릴랙세이션(relaxation)’으로 재탄생했다.

각종 힐링 음료와 산소발생기 같은 힐링 관련 상품이 쏟아져 나왔고, 마사지 살롱, 산소 bar 등 힐링 개념을 도입한 상업시설들이 생겨났다. 현재 일본인 4~5명 중 1명이 릴랙세이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2007년 2조 엔(20조 원) 정도이던 시장은 2020년이면 14조 엔(138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일본의 힐링 비즈니스인 ‘릴랙세이션(relaxation)’은 직장힐링 분야로도 확대되고 있다. 사진은 명상의 선(ZEN) 개념이 도입된 비즈니스 미팅 룸(자료:Flickr) ⓒ스트레이트뉴스
일본의 힐링 비즈니스인 ‘릴랙세이션(relaxation)’은 직장힐링 분야로도 확대되고 있다. 사진은 명상의 선(ZEN) 개념이 도입된 비즈니스 미팅 룸(자료:Flickr) ⓒ스트레이트뉴스

미국으로 건너간 웰빙 추세는 웰니스 산업(Wellness Industry)으로 불리며 2007년 5천억 달러(559조 원), 2012년 1조 달러(1,117조 원) 등 연간 15%가량 성장하는 신산업으로 자리매김, 2017년에는 전 지구적으로 4.2조 달러(4,718조7,000억 원)의 거대시장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제 힐링은 ‘흔치 않은 것’에서 ‘일상적인 것’으로, ‘일시적인 것’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사치스러운 것’에서 ‘일상생활의 가치’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 힐링산업의 현주소는 어떨까?

시장 형성 단계에 진입한 한국 힐링산업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헌법 제10조에 명시된 행복추구권이다. 힐링산업의 법적 가치는 바로 이 헌법조항에 의해 부여받을 수 있다.

웰빙은 IMF 외환위기 직후인 2003년 무렵 우리 사회에 열풍으로 다가왔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면서 치유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다가 2010년 무렵 ‘힐링(Healing)’이라는 트렌드 코드로 자리 잡았다. 경제가 어려울 때 생존에서 행복으로 관심이 전환되면서 등장한 산업인 셈이다.

서울 강남역 주변에 위치한 힐링수면카페 ‘쉼스토리’의 내부 모습. 피로에 지친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헤드셋으로 수면용 음악을 듣고 TV를 시청하며 잠들 수 있다.(자료:쉼스토리) ⓒ스트레이트뉴스
서울 강남역 주변에 위치한 힐링수면카페 ‘쉼스토리’의 내부 모습. 피로에 지친 직장인들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헤드셋으로 수면용 음악을 듣고 TV를 시청하며 잠들 수 있다.(자료:쉼스토리) ⓒ스트레이트뉴스

아쉽게도 한국의 힐링산업은 2015년경부터 시장 형성 단계로 진입한 탓에 전체적인 시장 규모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산업의 세부 영역(category) 분류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웰니스(Wellness) 관련 단체에서 건강과 휴식, 치유를 합한 국내 힐링산업의 시장규모를 75조9,800억 원으로 추산한 적이 있다. 국내 총생산(GDP)의 7% 규모다. 추산에 따르면 힐링 관련 사업체는 19만4,200여 개소이고, 종사 인원은 86만9,000여명이다.

하지만 산업 영역 분류에 대한 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크게 의미를 부여하기는 쉽지 않은 수치다. 그럼에도 개별 산업군이 제시한 정보들과 함께 살펴보면 대략적인 시장 규모와 트렌드, 시장별 특성 및 발전방향을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관련 업계와 유관기관, 정부 각 부처가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세부 영역을 힐링투어, 힐링뷰티, 힐링푸드, 힐링의학, 산림치유, 치유농업, 해양치유, 힐링부동산, 직장힐링, 문화힐링 등 10개 영역으로 구분했다.

① 힐링투어: 6조8,670억 원 시장+

힐링투어는 스파와 휴양, 뷰티 등의 요소가 포함된 관광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다. 미국 글로벌 웰니스 연구소(Global Wellness Institute, 이하 GWI)의 최신 연구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시장 규모는 힐링산업군 중 세 번째인 6,390억 달러(718조 원)다.

강원도 ‘치유의 숲’에서 힐링투어를 즐기는 국내 여행객들(자료:한국관광공사) ⓒ스트레이트뉴스
강원도 ‘치유의 숲’에서 힐링투어를 즐기는 국내 여행객들(자료:한국관광공사) ⓒ스트레이트뉴스

2018년 7월 현재,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힐링투어 시설은 14개 광역지자체에 총 33개소가 있다.

지난해 5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는 시장의 반응과 수요를 살펴가면서 한국 힐링투어 브랜드를 정립하기 위해 힐링투어의 테마를 ▲한방, ▲힐링(치유)ㆍ명상, ▲뷰티(미용)ㆍ스파, ▲자연ㆍ숲 치유 등 네 가지로 분류하고 ‘지역별 관광지 25선’을 선정했다.

또한 올해 5월에는 힐링투어를 국정과제로 지정, 국내 힐링투어 거점을 육성하기 위한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대상지역으로 경상남도(산청ㆍ함양ㆍ합천ㆍ거창ㆍ통영ㆍ거제ㆍ고성)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현재 한방 항노화 힐링투어(산청ㆍ함양ㆍ합천ㆍ거창), 해양치유관광(통영ㆍ거제ㆍ고성), 동의보감촌(산청), 산삼휴양밸리(함양) 관련 시설들이 건립됐거나 신축 중이다.

아쉽게도 힐링투어 시장 규모에 대한 예측은 아직 없지만, 지난해 ‘웰니스 관광 25선’을 방문한 관광객이 전년 대비 13%가량 늘어난 1,000만여 명이었다는 문체부 발표에서 대략적인 흐름은 읽어낼 수 있다.

이 수치에 여행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한국여행업협회 의뢰)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국내관광 동향조사 결과치(예상 여행 기간 2.12박, 예상 여행비용 236,700원/1인)를 대입해 보면, 한방과 힐링(치유)ㆍ명상, 뷰티(미용)ㆍ스파, 자연ㆍ숲 치유가 포함된 국내 힐링투어 시장은 대략 2조3,670억 원 규모로 추산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개최한 럭셔리 트래블 마트(KLTM, 2018 Korea Luxury Travel Mart)에서 비즈니스 상담(B2B) 중인 바이어와 셀러들(2018.09.18)(자료:뉴시스) ⓒ스트레이트뉴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개최한 럭셔리 트래블 마트(KLTM, 2018 Korea Luxury Travel Mart)에서 비즈니스 상담(B2B) 중인 바이어와 셀러들(2018.09.18)(자료:뉴시스) ⓒ스트레이트뉴스

이밖에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는 ‘한국형 럭셔리-힐링-뷰티-한류 여행’을 해외에 소개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 9월에도 럭셔리 트래블 마트(KLTM, 2018 Korea Luxury Travel Mart)를 개최하는 등 1일 평균 지출액이 1,000유로(130만 원)에 달하는 럭셔리관광 활성화에도 나서고 있다.

2011년 60만 명에서 2017년 600만 명으로 늘어나 시장 규모가 1조5,000억 원에 달하는 캠핑 및 글램핑 시장도 엄연한 힐링투어 시장이지만, 문체부가 지정한 힐링투어 테마에서는 빠져 있다.

빠진 것은 또 있다. 여행지에서 직접 요리나 공예, 레저ㆍ스포츠, 공연, 미술 등을 체험하는 ‘액티비티(activity) 투어’다. 현재 에어비앤비, 야놀자, 하나투어(모하지) 등이 액티비티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데,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액티비티 투어 시장 규모는 80조 원을 넘어섰고, 국내 액티비티 투어 시장도 3조 원대 규모다.

캠핑 및 글램핑 시장과 액티비티 투어 시장만 추가한다 해도, 국내 힐링투어 시장 규모는 6조8,670억 원대로 늘어난다.

힐링투어의 주요 시장인 캠핑시장과 액티비티 투어시장, 템플스테이시장 ⓒ스트레이트뉴스/디자인:김현숙
힐링투어의 주요 시장인 캠핑시장과 액티비티 투어시장, 템플스테이시장 ⓒ스트레이트뉴스/디자인:김현숙

여기에 2002년 월드컵 당시 해외 관광객을 위한 숙소가 부족해 개방하면서 급성장한 템플스테이시장을 더하면 힐링투어시장은 단숨에 전체 힐링산업 중 1위로 부상할 수 있다. 스파시설을 포함한 스파경제시장과 열천/광천수시장을 힐링투어의 하부 시장으로 포함시킬지 여부도 향후 과제다.

② 힐링뷰티: 5조5,000억 원 시장+

지난해 4,648억 달러 규모였던 전 세계 화장품시장은 2021년 4,871억 달러(551조 6,400억 원)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미국의 힐링뷰티시장은 약 600조 원, 올해 한국 화장품 시장은 2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 제조판매업자는 12,000여 개소이고, 수출액은 49억 달러다.

이중 미백 화장품시장은 22조 원대, 나머지 5조 원대 시장 중 기능성 화장품군이 4조4,039억 원(중앙일보.2018.09.27)을, 안티에이징 화장품군이 5,961억 원을 나눠가졌다(2019 화장품 시장 이슈와 전망 컨퍼런스, 2018.11.08).

이 분야에도 빠진 부문이 있다. 올해 국내 시장 규모가 5,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뷰티 디바이스 시장이다(글로벌 시장 규모는 5조 원). 뷰티 디바이스는 요즘 TV 광고나 드라마에 가끔씩 보이는 ‘하얀 가면’을 떠올리면 된다. 얼굴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를 탄력 있게 만드는 기기다.

뷰티 디바이스시장은 개인용 홈케어 상품뿐 아니라 전문적인 미용ㆍ의료기기까지 모두 포괄한다. 그만큼 시장이 넓다는 얘기다. 기능성 화장품군을 포함한 힐링용 화장품시장에 뷰티 디바이스시장만 추가해도 힐링뷰티시장은 5조5,000억 원 규모로 확대된다.

LG전자의 가정용 에스테틱 기기인 프라ㆍ엘 델마(Pra.L Derma) LED 마스크를 비롯한 힐링뷰티 기기들 ⓒ스트레이트뉴스/디자인:김현숙
LG전자의 가정용 에스테틱 기기인 프라ㆍ엘 델마(Pra.L Derma) LED 마스크를 비롯한 힐링뷰티 기기들 ⓒ스트레이트뉴스/디자인:김현숙

힐링뷰티 범주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는 안티에이징시장이 꼽힌다. 각종 피부재건기기와 비만치료기기는 물론, 심지어 심신 피트니스와 가정용 러닝머신까지도 이 범주로 분류되지만, 아직 정확한 시장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스트레스 관리와 피부 미용을 결합한 ‘에스테틱 스파’ 분야도 마찬가지다.

③ 힐링푸드: 7조4,500억 원 시장+

힐링푸드시장은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식사와 영양, 체중 감량을 위한 다이어트 시장을 포괄한다.

국내 다이어트시장만 해도 내년이면 6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여기에 가정간편식(HMR) 열풍에 따른 샐러드, 간편 과일 등 신선ㆍ편의식품시장도 가세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발표한 ‘가공식품 시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601억 원이던 신선ㆍ편의식품시장이 2015년 956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현재 1천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버지니아주 소재 애쉬번(Ashburn)社의 신선식품 특별매장(자료:Ashburn) ⓒ스트레이트뉴스
미국 버지니아주 소재 애쉬번(Ashburn)社의 신선식품 특별매장(자료:Ashburn) ⓒ스트레이트뉴스
한국의 대표적 건강식인 비빔밥(자료:싱가포르 로롱 키라트Lolong Kilat 지역에 위치한 한식전문식당 Woorinara) ⓒ스트레이트뉴스
한국의 대표적 건강식인 비빔밥(자료:싱가포르 로롱 키라트Lolong Kilat 지역에 위치한 한식전문식당 Woorinara) ⓒ스트레이트뉴스

대표적 건강상품인 1조3,500억 원 규모의 홍삼시장도 있다(2014, 한국인삼공사). 이 세 시장을 합치면 힐링푸드시장의 규모는 7조4,500억 원대로 늘어난다. 그러나 이 영역에도 테라푸드, 컬러푸드, 우리 고유의 발효음식으로 균형식을 제공하는 전통&향토 음식 등 빠진 분야가 많다.

④ 힐링의학: 3조 원 시장+

힐링의학의 범주에는 예방&개인의학, 전통&대체의학 등이 포함된다. 미국 등 일부 국가는 공중보건 분야까지 이 범주로 취급한다. 평균 525억 달러(59조 원) 규모의 글로벌 의료관광(Global Healthcare Resources)과 2022년이면 4,053억 원 규모로 성장할 DTC(개인 의뢰 유전자분석)시장도 이 범주다.

그러나 예방&개인의학, 전통&대체의학 등 국내 힐링의학시장의 전체적인 규모에 대한 조사 역시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힐링투어객이 인도 케라라(Kerala) 지방의 한 의료시설에서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 처치를 받고 있다.(자료:greenhaventours) ⓒ스트레이트뉴스
힐링투어객이 인도 케랄라(Kerala) 지방의 한 의료시설에서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 처치를 받고 있다.(자료:greenhaventours) ⓒ스트레이트뉴스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는 건기식(건강기능식품)시장도 예방적 측면에서 힐링의학의 범주에 포함된다. 건기식이란, 기억력과 혈행 개선, 갱년기 안면홍조나 발열,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예방, 안구관리 등 각종 예방적 힐링 요구에 맞춰 출시되는 건강기능식품군을 말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3년 1조4,820억 원이던 건기식 시장은 연평균 11.2%의 성장을 구가하다 지난해 3조 원을 돌파했다. 예방의학시장과 전통&대체의학시장의 규모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의료관광과 연계된 수술 및 재활센터 등 힐링의학의 제반 요소들이 추가된다면 국내 시장 규모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bizlink@straightnews.co.kr

▶후속기사: ④76조원 한국 힐링산업, 과제는?(2)-산림치유, 치유농업, 해양치유, 힐링부동산, 직장힐링, 문화힐링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