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7일(현지시간)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에 도착해 노박 체코 대통령실 총무수석과 인사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7일(현지시간)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에 도착해 노박 체코 대통령실 총무수석과 인사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고우현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27일부터 5박8일 간 올해 마지막 정상외교를 시작했다.

G20 정상회의 앞뒤로 체코·미국·아르헨티나·네덜란드·뉴질랜드 정상을 만나 두 나라 간 실질협력 방안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 다양한 현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올해 들어 문재인 대통령의 해외순방은 이번이 9번째다. 문재인 대통령은 앞서 베트남·아랍에미리트(UAE·이상 3월), 일본(도쿄·한·중·일 정상회의), 미국(워싱턴·이상 5월), 러시아(6월), 인도·싱가포르(7월), 미국(뉴욕·9월), 프랑스·이탈리아·바티칸·벨기에·덴마크(10월), 싱가포르·파푸아뉴기니(11월) 방문을 통한 정상외교에 공을 들였다.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시작된 본격적인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과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사상 최초의 북미 정상외담 성사를 바탕으로 한반도 중재자로써의 역할을 국제사회에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마련된 이번 체코·아르헨티나·뉴질랜드 순방에서는 네덜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과의 별도 양자회담을 통해 올해 시작된 '평화외교'를 마무리한다. 

특히 내년 초를 목표로 한창 논의가 진행 중인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여건을 마련하고, 완전한 비핵화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에서 외교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이번 순방의 핵심이라는 분석이다

평양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미 간 주도권 싸움으로 가려진 '한반도 중재자론'을 다시금 각인시키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순방기간 네덜란드, 남아공과의 별도 양자회담을 잡은 것도 이러한 맥락으로 보인다. 

네덜란드는 올해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했으며, 유엔 내에서 북한 제재위원회 의장국으로서의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남아공은 내년도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이 예정돼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월 유럽 5개국 순방 당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프랑스·영국을, 지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는 러시아·중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한 설명에 공을 들였다. 

프랑스·영국과의 양자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조건부 대북제재 완화론'을 공론화한 바 있다. 이후 러시아·중국과의 정상회담에서는 국제사회의 공조를 강조하는 등 입장차를 나태냈다.

청와대는 '조건부 제재 완화론'이 부각되는 것에 부담을 갖고 있는 모습이다. 러시아·중국과의 정상회담 이후로 '톤 다운'에 신경을 쓰는 것이다. 남북 관계 발전 추진 과정에서 불가피한 부분은 한미 간 혹은, 유엔과 협의를 통해 허용 범위 내에서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 갖는 네덜란드·남아공 정상과의 만남에서 다시금 제재 완화를 주장하기보다는 한반도 정세 변화 설명에 초점을 맞추고 최대한 북미 정상의 만남 성사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결과는 북미 비핵화 협상에 달려 있다는 점을 최대한 강조하면서 문재인 대통령 자신은 한발짝 뒤로 물러나 있는 본연의 '중재자' 역할에 충실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현재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을 설명하고, 연내 종전선언 등 최소한의 미국의 상응조치 필요성을 언급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