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사실상 타결...성공 관건은 '현대차 노조'
지난달 30일 이용섭 광주시장이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방문해 하부영 현대차 노조 지부장에게 광주형 일자리 관련자료를 전달하고 있는 모습.

[스트레이트뉴스 김정은 기자] 광주형 일자리의 첫 모델인 현대자동차 광주 완성차공장 투자 협약과 관련해 제1, 2대 주주인 광주시와 글로벌 카메이커 현대자동차가 투자자 간 최종안에 잠정 합의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4일 잠정 합의문을 바탕으로 5일 노사민정협의회를 소집, 추인 절차를 거친 뒤 오는 6일 정부 관계자와 투자자 대표, 노동계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협약에 최종 조인한 뒤 추자 투자자 모집과 합작법인 설립 등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따라 노사민정 대타협을 기본정신이자 바탕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아울러 국내 자동차 생산능력 최고를 담당하는 현대차가 22년 만의 국내 공장 신설부지로 광주를 택하면서 광주시의 숙원인 '한국의 슈투트가르트'에도 한 발 짝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나아가 장기적으로 친환경차 생산라인이 강화되고 투자가 확대된다면, 휘발유 차량의 60여년 지배체제를 뒤로 하고 '미래 블루오션' 친환경차 분야에서 광주시가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현대차 투자사업은 독일 폭스바겐의 '아우토 5000'을 실제 모델로 소위 '반값 임금'을 통해 일자리를 배로 늘리는 사회통합형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의 첫번째 프로젝트다. 적정임금, 적정 근로시간, 노사 책임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이 4대 원칙으로 꼽힌다. 

시와 현대차는 최종 협상이 타결될 경우 빛그린산단 내 62만8000㎡ 부지에 자기자본 2800억원, 차입금 4200억원 등 총 7000억원을 투입, 1000cc 미만 경형SUV를 연간 10만대 양산할 예정이다. 부지와 공장 설비를 합쳐 고정자산은 5000억원 이상, 정규직 근로자는 신입생산직과 경력관리직을 합쳐 1000여 명, 간접고용까지 더하면 1만∼1만2000명으로 추산된다.

시는 법인자본금 중 자기자본금 2800억원의 21%(590억원)를 부담해 경영을 주도하고 생산은 위탁 방식으로 신설법인에 맡기되 현대차는 연구개발과 설계, 판매, 투자 자문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선 6기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를 공약화한 지 4년 6개월만에, 현대차가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지 6개월 만에 이뤄진 핵심 투자자 간 잠정 합의는 많은 의미를 갖는다.

먼저 중앙 정부에 의존하던 그동안의 투자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 정부가 주도한 첫 일자리 정책의 성공 사례다. 지역 노동계의 대승적 양보와 협조가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경직된 국내 노사 관계에도 훈풍이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노동계의 '협상 전권 포괄적 위임'이 좌초 위기에 놓여 있던 투자협상 분위기를 타결 쪽으로 급선회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리에 뿌리를 내리고, 지방분권이 연착륙할 경우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도 이어질 수 있다. 군산형, 거제형, 울산형 등이 거론되는 것도 이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어닝 쇼크'로 대표되는 자동차 침체기와 구조개편기에 현대차에 새로운 활력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긍정적 반응 중 하나로 제기된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동찬 시의회 의장,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 등 현대차노조 방문단이 30일 오전 울산 현대차 울산공장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현대차노조의 협조를 요청하는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스트레이트뉴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동찬 시의회 의장,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 등 현대차노조 방문단이 30일 오전 울산 현대차 울산공장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현대차노조의 협조를 요청하는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스트레이트뉴스

또한 광주시와 기아차 광주공장이 미래형자동차 전진기지로 우뚝 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광주 자동차 생산에 양적 팽창도 기대된다. 광주의 자동차 생산능력은 연간 62만 대로 울산 150만대에 이어 국내 2위다. 경기도 부평(GM), 소하리(기아), 아산(현대), 부산(르노 삼성)보다는 두 배 가량 많다.

광주지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에 달한다. 매년 내수용, 수출용 합쳐 50만대 안팎을 생산해 울산, 화성과 더불어 '빅3'다. 더불어 광주형 일자리가 더해지면 생산 다각화와 양적 성장이 예상된다..해외 진출 기업들의 국내 복귀도 가속화될 수 있는 분석이다. 

특히 산업구조가 척박한 광주에서 '메이드 인 광주' 완성차가 생산된다는 측면에서 지역 경제에는 더 없는 단비가 되고, 청년과 퇴직 숙련공들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실업난 해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다만 기대만큼 과제도 산적하다. 무엇보다 민주노총과 현대차 노조, 기아차 노조의 반발이 발등의 불이고, 소(小) 지역주의도 우려되는 부분으로 꼽힌다. 

5000억원이 넘는 신설법인 추가 투자금 확보와 신설법인의 경쟁력 확보, 무엇보다도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경영수지 분석과 공장 설계 등에 보다 섬세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초기 협상 과정에서 논란이 된 '노동계 패싱'이 재현되지 않도록 노동계와의 적극적인 소통과 참여보장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쟁점 중 하나였던 원하청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원청업체와 하청업체간의 공정성 확보도 시급하다는 평가다.

채무 규모가 1조원에 육박한 가운데 대주주로 참여할 광주시의 재정적 여력이 넉넉한지, 법률적 문제는 없는것인지도 꼼꼼히 따져볼 사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