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월 총파업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2월 총파업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고우현 기자]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하면서 민주노총이 2월 총파업 총력 투쟁을 예고했지만 여론의 반응은 좋지 못한 상황이다.

갈등을 반복하는 한이 있더라도 사회적 대화의 틀 내에서 싸울 것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민주노총의 투쟁이 탄력을 받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노동계의 다른 한 축인 한국노총도 민주노총의 투쟁 행보와 거리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노총은 사회적 대화 기구에 참여해 경영계와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경제 사정이나 일자리 문제를 놓고 볼 때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안타까운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8일 대의원대회를 열어 경사노위 참여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않아 사실상 거부 입장을 표명했다. 대신 총파업을 통해 투쟁 노선을 강화하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대타협이 필요한 중요한 의제들을 논의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노총 김명환 위원장은 최근 2월 총파업 기자회견을 열어 "설이 지나면 국회에서는 최저임금법을 개악하고 탄력근로제를 확대할 것"이라며 "민주노총은 노동자에게 고통분담을 요구하면서 고통을 전담하라고 하는 국회에 맞서 다시 투쟁의 머리띠를 묶겠다"고 밝혔다.

현재 민주노총은 총파업 날짜를 못 박지 않고 정부가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 등을 강행할 경우 이달 말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선포했. 투쟁 수위도 추후 정하기로 여지를 남겼다. 

민주노총은 총파업 명분으로 정부의 최저임금 제도 개악 시도, 의료 민영화 추진을 규탄,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 등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고용, 수출 등 경제지표는 계속해서 경고음을 내고 있다. 특히 한국 경제를 견인해온 반도체 수출이 주춤하며 호조세가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론의 공감을 얻기 힘든 만큼 민주노총 총파업의 규모나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28일 민주노총대의원 대회에서 한 대의원은 "사회 대개혁으로 가기 위해 때로는 투쟁이 필요하고, 때로는 교섭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2월은 최대 명절인 설 연휴가 있어 실제로 노동자가 일을 할 수 있는 날짜가 많지 않은 점도 파업 효과를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