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이트뉴스 고우현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28일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베트남 하노이에 모두 도착한다.

지난 23일 오후 5시(현지시간) 평양을 출발한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는 26일 오전 동당역에 도착한다. 이어 김 위원장은 동당역에서 하노이까지 약 2시간 가량 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당역에는 전날부터 승강장 선로 위에 설치된 발판에 레드 카펫이 깔리고 양옆으로는 붉은 색 꽃이 장식되는 등 김 위원장을 맞을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 비춰졌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도착 후 차량을 타고 이동할 것으로 보이는 하노이 방면 도로도 정리가 된 상태다. 특히 김 위원장의 방문이 임박하면서 막바지 맞이 준비와 함께 동당역의 경계도 한층 강화된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용기는 26일 오후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한다. 이날 오후 늦게 도착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호텔에서 여장을 풀고난 후 27일부터 공식 일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오전 주석궁에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과 회담을 한 뒤, 정오에는 정부 건물에서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회담을 갖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오후 일정은 공식적으로 비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점을 미뤄볼 때 트럼프 대통령이은 오전 일정을 모두 소화한 뒤 오후 늦게부터 김 위원장과의 회담 일정을 시작할 것이란 시각이 많다. 북미 정상의 첫 만남은 베트남 정부가 마련하는 이날 만찬에서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공식회담은 둘째 날인 28일 오전에 열릴 전망이다.

두 정상은 둘째 날 열리는 공식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폐기를 비롯한 비핵화 조치와 이를 견인할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종전선언 등 상응조치를 주고 받는 담판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임박하면서 '한반도 운전자론'의 당사자인 문재인 대통령의 움직임도 분주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문 대통령은 이번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 한반도 정세를 평가하면서 변화된 비전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25일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에서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통화를 언급하며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며 "한반도 문제의 주인으로서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선순환하고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공동번영의 길로 나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오전(현지시각) 베트남 하노이 국제미디어센터(IMC, 우호문화궁전)에 대형 로고와 꽃으로 만든 성조기 및 인공기 조형물이 전시돼 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오전(현지시각) 베트남 하노이 국제미디어센터(IMC, 우호문화궁전)에 대형 로고와 꽃으로 만든 성조기 및 인공기 조형물이 전시돼 있다.

이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동시개선'을 거론한 것으로,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견인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비핵화 협상은 북미 간의 일이지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 주인 의식을 갖고 적극적인 역할을 다 하겠다는 의중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특히 "북한의 경제가 개방 된다면 주변국가들과 국제기구, 국제자본이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도 우리는 주도권을 잃지 않아야 한다"며 "한반도 운명의 주인은 우리"라고 강조했다. 제재 완화를 전제로 한 북한의 개방 흐름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주인 의식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독려의 메시지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한미 정상통화에서 제재 완화의 필요성을 간접 요청하며 철도·도로 연결을 포함한 남북경제협력 사업 추진 의사를 밝힌 것과도 이러한 맥락과 같다. 

특히 이는 과거 100년에 대한 역사적 성찰이라는 토대 위에서 미래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인식과도 일치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한·오스트리아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최근 주요 행사 때마다 관련 메시지를 던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와의 한·오스트리아 정상회담에서 "정의와 진실의 원칙하에 불행한 과거 역사를 직시하는 것은 미래지향적인 발전의 토대가 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당시 문 대통령의 발언은 표면적으로는 나치에 동참했던 역사적 책임 인식을 언급한 쿠르츠 총리의 과거 발언에 존중의 의미를 담아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로 읽혔다. 

문 대통령이 이토록 최근 메시지마다 역사와 관련된 코드를 심는 것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앞두고 미래 100년을 향한 새 국가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해석된다.

주권을 박탈당했던 일제 강점기와 이어진 6·25 전쟁과 민족분단이라는 역사적 아픔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과거사에 대한 객관적 평가 작업이 선행돼야 하고, 한반도 문제의 강한 주인 의식을 토대로 미래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지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 '신 한반도 체제' 비전은 오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식 기념사에 보다 구체적으로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