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해 6월 12일 오전 회담장인 카펠라 호텔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위해 만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해 6월 12일 오전 회담장인 카펠라 호텔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위해 만나고 악수를 나누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고우현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부터 이틀간 비핵화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아 세기의 핵 담판을 벌릴 예정이다. 

북미 두 정상이 다시 만나는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8개월 만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정세의 향방을 가를 북미 정상 간 역사적인 회담에 당사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눈과 귀가 하노이로 집중되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과 시간표, 이를 견인할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종전선언, 대북제재 완화 등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해 양국 정상이 어디까지 합의해 하노이 공동선언에 담을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에서 도출될 하노이 선언에 어떠한 내용을 담느냐에 따라 비핵화가 다시 속도를 낼지, 아니면 협상 동력을 잃고 교착상태에 빠질지 중대한 향방이 판가름난다는 점에서 이틀 동안 전세계의 시선은 하노이로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두 정상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보장, 북미 관계 정상화 추진, 6·25 전쟁 전사자 유해송환 등 4개항을 담은 포괄적인 공동성명 합의를 이룬 바 있다.

하지만 북미간 비핵화 협상은 북한의 핵 신고와 제재완화, 종전선언 등 상응조치를 놓고 이견이 노출되면서 지난 한 해 동안 교착상태 국면을 지속했다.

그러다가 올해 1월 1일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미국 대통령과 다시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친서 교환을 통해 2차 정상회담 추진의 물꼬가 터졌다.

두 정상의 교감이 이뤄지면서 2차 정상회담 준비는 속도를 높였다. 지난달 19~21일 스톡홀름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비견 특별대표 간 첫 실무회담이 열렸다. 이후 평양협상, 3차 하노이에서 북미정상회담 직전까지 실무접촉이 계속되면서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둘러싼 의제조율이 이뤄졌다. 

이번 회담은 지난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과 달리 1박 2일로 진행되는 만큼, 두 정상은 이틀 동안 최소 5차례 이상 만날 것으로 보인다.

전날 베트남 하노이에 나란히 입성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7일 저녁 만찬을 시작으로 1박2일 동안의 공식 일정을 시작할 예정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을 방문한 모습을 보도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27~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사진출처=노동신문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을 방문한 모습을 보도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27~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사진출처=노동신문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오후 배석자들과 함께 비공식 친교 만찬을 갖는다. 미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및 통역이, 북측에선 김영철·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또는 김영철 부위원장·김여정 제1부부장이 배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저녁 만찬은 의제 실무협상 결과를 보고받은 양 정상의 첫 만남인 만큼, 이번 이틀간의 비핵화 담판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만남이 될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회담 둘째 날인 28일 두 정상은 비핵화 조치와 상응조치를 주고 받는 본격적인 핵 담판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공식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폐기를 비롯한 비핵화 조치와 이를 견인할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종전선언 등 상응조치를 주고 받는 협상을 벌인다.

28일 회담은 오전 단독회담으로 시작해 확대회담-업무 오찬-공동성명 서명식 순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작년 1차 회담 당시 카펠라 호텔에서 두 정상이 산책을 하며 대화를 나눴던 것처럼 이번 2차 회담에서도 산책 등 이벤트성 행사가 추가될 수 있다. 하루 동안 공식 회담을 가진 두 정상은 마지막으로 이번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하노이 공동선언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차 정상회담 때는 트럼프 대통령이 혼자 기자회견을 했다면, 이번 2차회담에서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나란히 서서 공동성명발표와 기자회견을 함께 진행할지도 관심사다. 회담 성과와 분위기가 좋을 경우 두 정상이 함께 기자회견 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흘러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작년 1차 정상회담에선 북미 두 정상의 만남 자체로도 정치적 상징성이 있었지만 이번 회담에선 상징성을 넘어 실질적 성과를 도출해야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인 조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모두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