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30대 기업을 만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현대차·SK·LG·롯데 등 5대 그룹을 포함해 총자산 10조 원 이상 대기업 30개사와 경제단체 4곳이 참석했다. 왼쪽부터 이원태 금호아시아나 부회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황창규 KT 회장, 허창수 GS 회장, 구광모 LG 회장,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문 대통령,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황각규 롯데 부회장, 김병원 농협 회장.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30대 기업을 만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현대차·SK·LG·롯데 등 5대 그룹을 포함해 총자산 10조 원 이상 대기업 30개사와 경제단체 4곳이 참석했다. 왼쪽부터 이원태 금호아시아나 부회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황창규 KT 회장, 허창수 GS 회장, 구광모 LG 회장,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문 대통령,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황각규 롯데 부회장, 김병원 농협 회장.

기업인들이 10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진행된 경제계 주요인사 초청 간담회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책을 놓고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아울러 대부분 기업은 위기를 기회로 삼자며 중장기적으로 대처하자는데 공감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기업인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34개 가운데 30개 기업의 총수 또는 CEO 등 30명에 이른다.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 LG그룹 구광모 회장, 포스코 최정우 회장,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 GS그룹 허창수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참석했다.

다만 삼성과 롯데는 그룹 총수인 이재용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현재 일본 출장 중인 관계로 각각 윤부근 부회장과 황각규 부회장이 대신 참석했다.

아울러 농협중앙회 김병원 회장과 현대중공업 정기선 부사장,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 KT 황창규 회장, 한진그룹 조원태 회장, 두산그룹 박정원 회장, LS그룹 구자열 회장,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회장, 효성그룹 조현준 회장, 한국투자금융 김남구 부회장, 대우조선해양 이성근 사장, 영풍 장형진 회장, 하림 김홍국 회장, 교보생명보험 신창재 회장, 금호아시아나 이원태 부회장, KT&G 백복인 사장, 코오롱 안병덕 부회장, OCI 이우현 부회장, 카카오 김범수 의장, HDC 정몽규 회장, KCC 정몽진 회장 등도 청와대에 모였다.

경제단체에서는 무역협회 김영주 회장과 경영자총협회 손경식 회장, 중소기업중앙회 김기문 회장, 중견기업연합회 강호갑 회장 등 4명이 참석했다. 대한상공회의소 박용만 회장은 해외 출장으로 참석하지 못했으며,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초청을 받지 못해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GS그룹 회장 자격으로 나왔다.

이날 청와대에 따르면 이날 기업인들은 단기적으로 모든 조치를 다 하는 동시에 일본의 규제책이 한일 양국 간 경제협력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을 민간 차원에서 설득해나가겠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부품 국산화 등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함께 금융과 환경 분야 등에 대한 규제 완화가 시급하다는 요구도 나왔다.

기업인들은 "단기적으로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 "중장기적으로도 일본의 이번 조치가 양국 경제협력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을 민간 차원에서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인들은 "해당 부처와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정부·기업 간 협력을 강조했다. 아울러 부품 국산화에 대한 정부 의지에 공감을 표하고 긴 호흡의 정부 지원을 당부했다.

이들은 특히 "제조업을 뒷받침할 기초사업이 탄탄해야 한다"면서 "이번 사태를 해당 산업의 뿌리를 내리는 기회로 삼겠다"면서 수입선 등 조달망 다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게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특히 화학 분야에 강점이 있는 러시아·독일 등과 협력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기업인들은 전략 부품 산업 분야의 인수합병(M&A) 검토 필요성도 제시했다.

이들은 또 "한국경제의 문제점은 자본이 늙었다는 것"이라며 부품·소재 분야로 돈이 흘러가지 않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금융 부문 규제를 풀어줄 것을 당부했다.

연구·개발(R&D) 투자는 물론 신규물질 생산에 따른 환경 규제로 어려움 등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고 대변인은 "대부분의 기업은 위기를 기회로 삼자며 중장기적으로 대처하자는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가 최대한 뒷받침할 테니 대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주요 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 대·중소기업 간 부품기술 국산화 협력 확대 등을 통해 한국 경제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기회로 삼아달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