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발견된 방호벽 구멍 94%, 부식 60%가 한빛원전
-공기단축 위해 무리한 설계변경 등 부실시공 근본원인 지적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교훈, 사고방지 대책 조기 수립 절실

이개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담양.함평.영광.장성, 사진출처: 이 의원실)
이개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담양.함평.영광.장성, 사진출처: 이개호 의원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제항 선임기자] 국내 원전 22호기에 대한 안전성 점검 결과 현재까지 발견된 방호벽 공극(구멍)건수의 94%, 내부철판(CLP) 부식건수의 60%가 한빛원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문제발생의 원인이 공사발주사인 한전이 공기단축을 위해 무리한 설계변경을 추진하는 등 부실공사를 자초한데 따른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향후 조사가 확대될 경우 부실사례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이개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담양.함평.영광.장성)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내부철판 부식 및 공극발견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빛원전 2호기에서 내부철판 부식이 최초 발견된 2016년 6월 이후  전 원전 총22기에 대한 확대점검을 실시한 이후 현재까지 내부철판 부식이 777개(총10기), 공극이 295개(총8기)가 발견되어 한수원이 조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에서 발견된 295개 공극중 94.2%인 287개가 한빛원전에서 발견되었고 이 중에 3,4기에서 발견된 공극이 245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철판 부식의 경우 발견된 777개 가운데 한빛원전에서 469건이 발견됐으며 1,2,4호기에서 발견된 부식건수가 무려 467건, 60%에 달해 한빛 원전의 안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극이 한빛원전에서만  집중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해  원전 전문가들은 콘크리트 타설 부실과 함께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고 공사를 하도록 설계 변경을 한 것이 주된 원인이며, 설계변경을 요청한 당시 발주사인 한수원과 기술적으로 이를 허락한 한국전력기술이 부실시공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의원이 확보한 1990년 11월 21일 당시 '현정설계변경요청서(FCR)'에 따르면, 한전이 보강재를 제거하지 않도록 설계를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바로 다음날 설계를 맡은 한국전력기술이 이를 승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내부철판의 경우 원전 운영기간 중 부식된다는 것은  부실시공 이외에는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개호 의원은 이와 관련 "격납 건물은 사고가 났을 때 방사능의 외부유출을 막아주는 안전장치이며, 특히 내부철판은 원래 원전설계를 할 때 원전수명과 함께 해야 하는데도 부식과 공극이 1천여 군데 이상 발생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다른 원전은 모두 보강재를 제거하고 타설했는데, 한빛3,4호기만 보강재를 그대로 두고 공사를 한 이유가 무엇인지, 한빛원전 전체에서 공극과 부식이 유독 많이 발견되는 이유와 대책을 분명히 밝혀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떨쳐내야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