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입찰권을 둘러싼 비리문제가 국내 제약회사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제약업계가 불안이 점차 커지고 있다.
백신 입찰권을 둘러싼 비리문제가 국내 제약회사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제약업계가 불안이 점차 커지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정훈기자] 조달청의 백신 입찰담합을 둘러싼 비리 수사가 본격화, 제약업계가 좌불안석이다.

백신공급 해외 제약사 임원이 의약품도매업체로부터 수 십억원대 뒷돈을 받은 재판을 받는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같은 유형의 범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는 국내 대기업 계열 제약사 직원도 구속기소돼 제약계에 파장이 불고 있다.

13일 법무부가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의원실에 제출한 공소장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최근 글로벌 S제약사 임직원 이모(57)씨와 국내 대기업 계열 L제약사 임직원 안모(48) 씨를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두 임직원 모두 국가예방접종사업(NIP)와 관련해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제약사들이 도매업체를 내세워 조달청에 백신을 공급하면서 물량이나 가격을 담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S제약사 이씨는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의약품의 거래처 지정·단가 책정, 백신 입찰시 공급확약서 발급 등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2개 도매업체로부터 총 16억8,940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L제약사 안씨는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동일한 취지의 청탁을 받고 도매업체로부터 2억6,200만원 상당의 재산상 이득을 얻은 혐의다. 안씨는 도매업체로부터 법인명의 카드를 교부받고 무상으로 6,000여만원 상당 차량을 교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검찰은 한국백신, 광동제약, 보령제약, GC녹십자 등 국내 제약업체들이 도매업체를 들러리로 내세워 조달청에 백신을 공급하면서 물량이나 가격을 담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이미 한국백신의 경우는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고가의 경피용 BCG 백신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일명 '불주사'로 불리는 피내용 BCG 백신 공급을 중단했다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된 바 있다.

현재 검찰은 공정위와 조달청에서 조사 결과를 넘겨받은 뒤 백신 공급과정의 담합과 뒷거래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