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계열사, 무늬만 업체 돕는 세일행사ㆍ임대료 납부 유예
업계 관계자 "백화점, 매출 활성화 능사 아닌 매입 구조 바꿔야"
프라퍼티, 정부 지원 받고 입점업체 임대료 유예 그쳐 '이중 잣대'

(사진=신세계 로고)
(사진=신세계 로고)

신세계 그룹 계열사들의 '코로나19' 극복 행보를 두고 '말 뿐인 상생'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신세계백화점과 신세계프라퍼티가 입점 업체들을 위해 지원 방침을 마련했지만 정작 자신들의 이득을 위한 허울뿐인 '상생'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입점 브랜드 매출 활성화를 위해 취소나 연기없이 이달 3일부터 19일까지 봄 정기세일 행사를 진행한다. 신세계프로퍼티는 지난달부터 스타필드와 코엑스 등에 입점한 1000여개 소상공인과 중소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3월과 4월 임대료를 3개월 동안 납부 유예하기로 했다.

그러나 신세계백화점 봄 정기세일 행사에 대해 매출에 급급해 안전을 무시한 채 강행한다는 비판이 크다. 신세계프라퍼티의 입점 업체 임대료 납부 유예를 두고는 '이중 잣대'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선 신세계백화점이 정기세일 행사를 앞두고 새롭게 마련한 방역 대책은 없다. 상시 방역, 주요 입구 열 감지 카메라 설치, 매장 내 손 소독제 비치 등은 모두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될 때부터 이미 시행돼 왔다. 평소보다 소비자들이 더 몰릴 상황을 대비해 마련한 특별 대책은 없다.

백화점 측은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입점 업체들의 매출이 자체적으로 활성화 돼야 '코로나 블루'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세일일 뿐"이라며 "입점 브랜드를 지원하고자 많은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이보다도 자체적으로 매출이 늘어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매출 활성화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백화점의 경우 입점 업체들이 대부분 특약매입 방식으로 계약을 맺기 때문에 당연히 자체적으로 매출을 높여야만 살아남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상생을 위한다면 매출 활성화를 위해 안전을 무시할 게 아니라 매입 구조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신세계프라퍼티의 임대료 유예 방침을 두고는 '이중 잣대'라는 꼬리표가 붙었다. 정부 지원으로 공공기관 임대료 할인 혜택을 받으면서 정작 계열사 입점 업체의 임대료는 깎아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면세점 등 공항에 입점한 신세계는 오는 8월까지 임대료 20% 할인 혜택을 받는다. 하지만 신세계프라퍼티가 운영권을 지닌 코엑스와 스타필드의 입점 업체들에게는 3월과 4월의 임대료를 3개월 동안 납부 유예만 주기로 했다.

당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만 제공되던 임대료 혜택을 두고 '역차별'이라 반발했던 신세계가 계열사의 입점 업체들에게는 임대료 인하 대신 유예라는 '조삼모사' 방침을 택한 것.

임대료 납부를 유예해 준다고 해도 입점 업체들의 부담은 덜어지지 않는다. 임대료를 감당할 만큼의 매출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즉 납부 기간을 늘려준다 해도 임대료 자체를 내지 않거나 할인 받는 것은 아니여서 어려움은 여전하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대형 쇼핑몰은 '혼합 임대료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입점 업체의 매출의 일정 비율을 수임대료로 책정하는 '매출 연동형 임대료'와 매출이 낮은 업장이 많을 경우 쇼핑몰 전체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니 임대료 하한선을 책정해두는 방식 '기본 임대료'를 혼합한 방식이다.

입점 업체는 매출이 낮아도 최소한의 임대료를 지불해야 한다. 기본 임대료는 보통 매출과 연동할 경우 60~70% 선에 달한다. 따라서 입점 업체가 3개월 뒤에 임대료를 납부하려면 이 비율에 상응하는 매출을 내야 하지만 '코로나 블루' 영향으로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상생을 얘기하려면 고통을 함께 분담하려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며 "겉으로만 상생을 외치면서 본인들은 손해를 보지 않으려 하는 행동은 오히려 입점업체와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