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도강·금관구'를 비롯해 강동·송파 등이 상승 주도
22번째 나온 '7·10대책'으로 매수심리 위축 가능성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주간 단위로는 올들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를 비웃기나 하듯 서울 아파트값은 좀처럼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7·10대책'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주간 단위로는 올들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를 비웃기나 하듯 서울 아파트값은 좀처럼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7·10대책'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정부가 고강도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6.17 대책 발표 이후 오히려 매수세가 늘어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를 비롯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잠실동이 위치한 송파구, 규제 사정권에서 벗어난 강동구도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컸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둘 째주 서울 아파트값은 0.14% 올라 7주 연속 상승행진을 이어갔다. 상승률도 올들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12월 27일(0.15%) 이후 주간 상승률로는 가장 높다.

재건축 아파트(0,07%)와 일반 아파트(0.15%) 모두 상승폭이 커졌다. 경기·인천은 0.10%., 신도시는 0.06% 상승했다.

서울은 △강북(0.32%) △노원(0.30%) △구로(0.29%) △강동(0.28%) △관악(0.28%) △송파(0.26%) △마포(0.20%) △금천(0.18%) △도봉(0.18%) 등이 올랐다.

강북은 급매물 소진 이후에도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번동 주공1단지, 미아동 삼각산아이원, SK북한산시티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노원은 중계동 라이프,신동아,청구2차를 비롯해 상계동 상계주공11단지, 상계주공3단지(고층), 월계동 성북역신도브래뉴 등이 1000만~2500만원 올랐다. 송파는 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지만 실수요 유입이 이어지면서 장지동 송파파인타운13단지와 잠실동 잠실엘스,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등이 500만~5000만원 상승했다. 강동은 대규모 입주 부담이 줄어든 데다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사정권에 벗어나면서 오름폭이 컸다. 성내동 성내삼성, 길동 강동자이,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 등이 1500만~25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일산(0.09%) △광교(0.09%) △중동(0.08%) △분당(0.07%) △김포한강(0.07%) 등이 올랐다.

일산은 마두동 강촌1단지동아, 주엽동 문촌16단지뉴삼익, 백석동 백송7단지임광 등이 200만~500만원 상승했다. 광교는 수원시 이의동 광교자연앤자이1단지와 광교호반베르디움, 용인시 상현동 광교상록자이 등이 250만~1000만원 올랐다. 중동은 상동 한름라이프,현대와 중동 은하효성, 은하쌍용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경기 남부권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광명(0.30%) △구리(0.18%) △용인(0.18%) △남양주(0.17%) △안양(0.16%) △고양(0.13%) △의왕(0.13%) △화성(0.13%) 등이 올랐다.

특히, 광명은 재개발 사업으로 이주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전세 수요가 매매로 돌아섰고, 최근 4기신도시로 거론되면서 오름폭이 커졌다. 소하동 동양, 하안동 주공8단지, 광명두산위브트레지움, 광명동 광명해모로이연 등이 500만~1500만원 상승했다. 구리는 갈매동 구리갈매푸르지오와 교문동 한성, 인창동 인창2차e편한세상 등이 1000만원 정도 올랐다. 용인은 영덕동 용인기흥효성해링턴플레이스, 동천동 수진마을2단지효성IPARK, 중동 신동백서해그랑블1차 등이 1000만~2000만원 올랐다.

6.17 대책 발표 이후에도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을 또 다시 내놓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2번째 부동산 대책으로 △서민 실수요자 부담경감조치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공급 확대 △다주택자·단기거래에 대한 부동산 세제 강화조치 △임대사업자 제도에 대한 개편 등이 핵심 내용이다.

이 중 투기수요 억제를 위해 종합부동산세와 양도소득세·취득세 강화는 매수심리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종부세 과세 기준일(매년 6월 1일)과 납부 시점(매년 12월 1~15일)간 시차가 있어 단기적으로 종부세율 인상 효과가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집값 상승장에서는 늘어난 세금 부담보다 집값이 더 오를 수 있어 다주택자들이 버티기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도 없다. 양도세 중과 역시 내년 6월까지 유예 기간이 있어 당장에 매물로 내놓기 보다는 시장 상황을 좀더 지켜보는 관망 분위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