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LG 등에 화웨이 거래 중단 촉구 논란
LG 차분한 대응...업계선 피해 없을 것이란 전망도

화웨이와 5G 로고가 새겨진 스마트폰이 컴퓨터 부품들 틈에 놓여 있다. 연합뉴스
화웨이와 5G 로고가 새겨진 스마트폰이 컴퓨터 부품들 틈에 놓여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LG유플러스가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에 휘말렸다. 현재 LG유플러스가 사용 중인 중국의 화웨이 장비를 미국이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면서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로버트 스트레이어 미국 국무부 사이버·국제통신정보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공식 화상 브리핑을 통해 "LG유플러스 같은 기업들에 믿을 수 없는 공급업체에서 믿을 수 있는 업체로 옮기라고 촉구한다“고 말하며 화웨이와 거래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로버트 부차관보는 “화웨이 장비 사용은 심각한 안보위협을 초래할 것”이라며 “화웨이 장비를 쓰지 마라”고 재차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월부터 경제 번영 네트워크(EPN·Economic Prosperity Network)으로 불리우는 ‘반중 경제블록’을 결성하고 우리나라도 이에 동참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미 정부는 여기에 동참한 동맹국을 중심으로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미국이 공식적으로 압박에 나서면서 LG유플러스는 속앓이 중이다. LG유플러스는 2013년부터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난해 5G(5세대 이동통신) 설비 확충을 위한 투자를 늘리면서 화웨이 장비를 도입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지금까지 5G 기지국(LTE 연동) 30%가량을 화웨이 장비로 설치한 것으로 전해진다.

게다가 5G를 단독으로 구현하기 어려워 4세대(4G)장비와 연동해 설치하는 상황이다. 이를 비단독모드(NSA)라고도 부른다. LG유플러스가 미국의 요구대로 화웨이와 거래를 중단하면 5G 뿐만 아니라 4G에도 새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장비를 전면 퇴출할 경우 기지국 설치에서 시작해 네트워크 설계, 장비간 연동성 테스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다.

난처해진 상황에 LG유플러스 측은 "당장 화웨이와 거래 중단은 어렵다"고 밝혔다.

통신분야를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보안협의회에서 화웨이 장비에 대한 보안성 점검을 진행 중이다. 분석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내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악재’가 실제로 장비 철거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악재’가 미국 측이 점진적인 장비 사용배제이고, 당장 철수가 아니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27일“화웨이 이슈로 LG유플러스가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한다”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LG유플러스가 2021년부터 점진적으로 화웨이 장비 구입 중단 및 타 업체로의 장비 전환, 장비 상호 연동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서 “그렇게 한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화웨이 장비의 경우 초기 구매 비용이 낮은 반면 유지보수비용이 비싸 벤더 교체에 따른 총 장비 구매 비용 증가분이 크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웨이 장비를 서서히 타 업체 정비로 교체하고 새로운 장비를 삼성·노키아 등으로부터 구매함에 따른 2021년 이후 연간 LG유플러스 영업비용 증가분이 200~300억원 수준으로 크다고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통신업계도 이번 논란이 화웨이 장비의 실제 보안 문제가 아닌 미국과 중국의 국제적 갈등에 따른 문제라고 보고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고 있어 안심할 수는 없다는 반론도 있다.

최근 미국은 브라질이 자국 5세대 이동통신(5G) 구축 사업자로 화웨이를 선정한다면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토드 채프먼 브라질 주재 미국 대사는 29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현재 브라질 정부는 5G 사업자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에 화웨이 참여를 허용한 상태다. AFP에 따르면 브라질은 미국의 압박에 난처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