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민간제약사 기준충족 연구소는 '제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이제항 선임기자]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의 연구를 위해 민간 제약사 등에 제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체 7가지 종류 중 단 2종에 불과하고, 이 두가지 종류도 감염증의 주 종이 아닌 곁 종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인 서정숙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서 의원은, “특히 우리나라의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지난 5월 이태원 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고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S외 L 등 2개 종류는 각각 233건,  30건 등 263건 등이다.

그는 질병관리청이 이태원 감염사태 이후 4개월이나 늦은 오늘부터(9.15) GH 등 다른 타입의 바이러스 분양에 나서겠다고 하는 것은 코로나19 종식에 필수적인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프라 조성의 구체적인 계획 없이 미봉책에만 급급한 것은 아닌지 강한 의문을 표했다.

서 의원은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시험할 수 있는 민간 바이러스 연구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서정숙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공공기관 52, 교육기관 11, 의료기관 7, 민간 2)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특히 백신·치료제를 직접 개발하는 제약회사가 보유한 시설은 전무하여,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러스 관련 시험 모두를 외부 위탁하고 있어 자체 연구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병관리청은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 주자인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질병관리청은 정부 연구과제로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해 총 17억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정부의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한국의 바이오제약산업이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정숙 의원은 “이번 국감은 코로나19 발생 후 첫 국정감사인 만큼, 정부의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 정책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장으로 삼을 계획” 이라면서, “또한 당내 유일한 보건의료 전문가로서 마부작침(磨斧作針)의 심정으로 국민건강 수호를 위해 한국바이오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장기적인 마스터 플랜과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해 갈 것” 이라고, 국정감사에 임하는 포부를 밝혔다.

서정숙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
서정숙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