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전기차 업체 중 국내는 1곳..글로벌 판매 점유율 5.4% 불과
국내 판매량, 세계 시장서 1.6%..충전시설 확충·정부 지원 절실

서울형전기차 집중충전소
서울형전기차 집중충전소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한국 기업의 경쟁력과 관련 인프라 구축은 아직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충전시설을 대폭 확충하고 배터리 원재료 확보 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7일 발표한 '전기차 시장 글로벌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세계 30대 전기차 제조업체에 포함된 우리나라 기업은 단 한 곳이었고, 판매 점유율은 5.4%에 불과했다.

30대 기업 중 중국 기업은 18개, 미국과 독일이 3개, 프랑스와 일본이 2개, 인도는 1개였다.

기업별 전기차 판매 순위는 미국 테슬라가 37만5752대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 르노·닛산(20만4569대)과 중국 BYD(19만7146대)가 뒤를 이었다.

전기차 시장 규모는 중국이 전세계 판매량의 절반이 넘는 52.9%를 차지하며 1위였고, 미국이 14.3%(2위), 독일이 4.8%(3위)였다. 한국은 1.6%(11위)에 그쳤다.

전경련은 전기차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맞춤형'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유소, 주차장, 공동주택, 직장 등 충전 수요가 많은 곳에 민간 사업자가 충전 인프라를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 전기차 충전 시설 수는 작년 기준으로 중국의 0.8%, 미국의 1.4%, 일본의 10.1%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일본은 22만7000개로 우리나라(2만3000개)보다 10배 가량 많았다.

전경련은 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코발트와 리튬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리튬과 코발트 자급률이 0% 수준이라 배터리 원재료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은 2009년 '희소금속 확보를 위한 4대 전략'을 수립하고 종합 상사들의 해외 광산 개발을 지원하고 있고, 중국은 리튬과 코발트 등을 확보하기 위한 자원 외교를 추진 중이다.

지금보다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을 갖춰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포드는 2022년까지 40종, BMW와 GM은 2023년까지 각각 25종과 22종의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지만, 현대자동차는 내년 9종의 신차 개발 계획만 내놓은 상황이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요국들이 전기차 구입 보조금을 높이는 등 시장 선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정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는 구입 보조금을 6000 유로에서 7000 유로로, 독일은 3000 유로에서 6000 유로로 인상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