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셧다운에 고전…신차수요 뚝
줄어든 신차수요로 고생한 자동차 업계
대한-아시아나 합병 등 항공업 재편 가속

올 한해 자동차업계와 항공업계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연합뉴스
올 한해 자동차업계와 항공업계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올 한해 자동차업계와 항공업계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의 신차구입 수요가 대폭 줄었고, 생산공장이 셧다운 되는 등 어려운 시기가 이어지고 있다. 항공업계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다수의 국가가 입국 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여객 수요가 줄어들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항공업계의 재편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자동차업계, 공장 셧다운·줄어든 신차수요에 고전

국내 자동차업계는 코로나19 여파에 국내외 생산공장이 잠시 멈추는 등 셧다운 위기를 맞았다. 여기에 글로벌 자동차 시장도 신차 수요가 줄어들면서 해외 판매 및 수출도 줄었다.

실제로 완성차 5개사(현대·기아,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의 올해 1~11월 해외 실적은 480만9678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584만4401대와 비교해 17.7%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소비 진작 등을 위해 자동차 개별소비세를 감면하면서 국내 자동차 내수 시장은 증가세를 보였다.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올해 1~11월 누적 기준 국내 판매실적은 147만3974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8만8327대와 비교해 6.2% 늘어난 수치다.

다만 내수에 비해 수출물량이 감소해 전체 자동차 업계의 매출 및 영업이익은 줄어든 상태다.

지난 10월 17일 오전 3시 40분께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주민자치센터 주차장에 세워진 코나 전기차(EV)에서 배터리 충전 중 불이 난 모습.
지난 10월 17일 오전 3시 40분께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주민자치센터 주차장에 세워진 코나 전기차(EV)에서 배터리 충전 중 불이 난 모습.

◇현대차, 대규모 리콜에 품질 논란

국내 자동차 시장을 주도 중인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와 수소차 등 미래 자동차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정의선 회장 체제에서 주력으로 밀고 있는 전기차 모델 ‘코나EV’가 품질 신뢰성에 약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코나EV가 국내외에서 잇단 화재가 발생한 데 이어 브레이크 결함마저 발견된 상태다. 이에 코나EV 소유주들은 현대차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도 했다.

한편. 쌍용차는 마힌드라에 인수된 후 다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마힌드라는 쌍용차에 대규모 투자를 철회한 데 이어 쌍용차는 밀린 대출금마저 못 내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마힌드라는 쌍용차에 더 이상 투자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또다른 대주주를 찾아야할 지경이다.

기아차, 단축 근무로 부분 파업 중. 연합뉴스
기아차, 단축 근무로 부분 파업 중. 연합뉴스

◇코로나19 위기에도 노사갈등 증폭

올해 자동차업계에서는 또다시 사측과 노동조합 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현재 현대차와 쌍용차는 임단협(임금단체 협상)을 서둘러 마무리 지었다. 그러나 나머지 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에서는 임단협을 마무리짓지 못해 연쇄 파업이 현실화되고 있다.

기아차 노사는 임금 및 성과금 부분과 기존 공장 내 전기·수소차 모듈 부품 공장을 설치하는 안 등에 대해 상당 부분 합의를 이뤄냈으나, '잔업 30분 복원'을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부분파업이 이뤄지고 있다.

한국GM은 기아차 노조보다 먼저 파업에 들어갔다. GM노조가 부분 파업을 강행하자 미국 GM본사는 부평공장에 대한 1억9000만달러(약 213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보류하고,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더 나아가 국내 시장에서 철수까지 하겠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르노삼성도 임단협 교섭에서 큰 성과를 이뤄내지는 못했다. 다만 르노삼성 노조는 쟁의권을 확보했으나 파업을 선언하지는 않은 상태다.

인천국제공항 계류장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기들이 서있다.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계류장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기들이 서있다. 연합뉴스

◇여객 수요 급감에 위기 닥친 항공사

코로나19 사태로 대부분의 국가가 입국 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국제선 노선 운항이 막혔다. 최대 수익원을 차지하던 국제선이 막히자 항공업계는 적자를 기록하며 비용 절감 조치에 들어갔다.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유·무급 휴직이나 구조조정을 하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섰다. 또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아 인건비를 절감하며 화물운송 등을 통한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

15일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항공사 8곳의 국제선 여객 수는 12만8175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451만3566명)와 비교해 약 97.2% 감소했다. 사실상 국제선 노선이 대부분 막혔다고 봐야 할 상황이다.

대한항공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매출액 5조702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40.9% 감소한 수치다. 영업손익은 –11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대신 대한항공은 여객 수요 대신 코로나19 특수를 맞은 화물 사업에서 선방해 소폭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 부품 등 항공 화물 운반과 함께 긴급 방역물자 등 화물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매출액 3조97억원, 영업손실 2551억원, 당기순손실 623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2% 줄었다. 아시아나항공도 화물 사업을 통해 그나마 사업이 영업되는 상황이다.

대형 여객사의 경우 화물 운송으로 겨우 버티고 있지만 LCC(저비용항공사)의 경우는 최악이다. LCC는 여객 사업에 전적으로 사업을 의존한 상황이고 소형기를 주로 운용해 화물 운송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에어서울 등 LCC업체들은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에 의존하거나 유상증자를 통해 사업을 가까스로 영위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발 항공업계 재편 개시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려워지면서 산업의 구조 개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먼저 이스타항공이 시장에 매물로 나오자 LCC 제주항공이 인수를 결정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업황이 악화되면서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인수계약 해제를 결정했다. 이스타항공은 재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HDC현대산업개발에 매각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계 타격에 지난 9월 결국 매각이 결렬됐다. 이후 아시아나항공의 주요 채권단인 산업은행이 대한항공의 모기업인 한진그룹과 합병을 추진하게 됐다.

대한항공은 올해 안으로 계약금 3000억원과 영구채 3000억원 등 6000억원을 아시아나에 투입하고, 다음해 1분기 중 중도금 4000억원을 납입할 계획이다. 이후 다음해 6월 30일에 아시아나의 1조5000억원 유상증자 잔금을 납입하면 인수절차가 마무리된다.

그러나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은 현장 실사와 해외 기업결합심사, 고용불안 등의 선결과제가 남아있다. 거기에 한진그룹의 경영권을 두고 조원태 회장과 대립하는 행동주의 사모펀드(PEF) KCGI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반대하고 있어 커다란 걸림돌로 남아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