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처럼 실리 투표를 할 것인가 vs 대구와 광주처럼 맹목적인 투표를 할 것인가

ⓒ구글지도

대한민국 정부 수립 68년, 충청도는 유일하게 직선 대통령을 배출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나 가 장 빠른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이유는 바로 경쟁이다.

통계청은 1986년부터 해마다 시·도별 살림살이를 비교하는 지역소득 자료를 발표해오고 있다.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 시·도 단위별 생산액, 물가 등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해당지역의 총생산액을 추계하는 시·도 단위의 종합경제지표)가 핵심이다. 충남은 1990년 당시 1인당 GRDP 15개 시·도 중 13위를 기록하는 등 10위권 밖이었다.

그러나 1988년 13대 총선 때 기호 4번 공화당이 다수당으로 등장하면서 고성장을 구가하기 시작한다. 3당 합당을 통해 YS를 지지한 충남은 1986년~1995년 10년 사이 연평균 13.5%의 높은 GRDP 성장률을 기록하며 1995년 문민정부 당시 드디어 5위로 올라섰다.

1998년 DJP연대를 통해 ‘국민의정부’의 한 축을 담당한 충남(자민련)은 드디어 1인당 GRDP 2위로 올라섰고 2003년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2천만 원을 돌파했다. 1998년 2위를 차지한 이 순위는 2014년 현재까지 단 한 번도 놓치지 않고 있다.

민주정부 10년 기간 동안에도 충남의 연평균 GRDP 성장률은 8.9%로 전국 평균(5.6%)을 크게 앞질렀다. 특히 행정수도이전공약을 바탕으로 집권한 노무현 정부 5년은 집중적인 재정투자에 힘입어 연평균 성장률이 두 자릿수인 무려 10.22%이다.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으며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연평균 2.98% 성장에 그쳤다. 그러나 충남만큼은 달랐다. 충남은 그 3배 가까운 성장률을 기록했으니 8.74%였다. 박근혜 정부 2년 기간 동안에도 전국 평균은 3.7%였지만 충남은 연평균 5.1%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지역소득(잠정)'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충남의 GRDP는 103조 7400억 원으로 경기도와 서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남과 함께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국 평균(3.8%)보다 높은 4.9%의 성장률을 구가한 충남은 높은 정부소비 투자(6.7%)가 원동력이었다.

2014년 충남의 1인당 GRDP는 4702만원으로 전국 2위다. 공업도시 울산을 제외하면 사실상 전국 1위다. 전국 평균(2944만원)의 1.6배이다.

충남은 15대를 제외하면 13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제3세력이 꾸준하게 당선자를 배출한 유일한 시·도였다. 여당이 불과 26.7% 의석(86석 중 23석)만을 차지했을 뿐이고 아주 극심한 여소야대현상이 나타난 지역이다. 18대는 아예 여당 의석이 전무했다. 오히려 13대(72.2%), 15대(92.3%), 16대(54.5%), 18대(80%)는 제3당 또는 제4당이 과반의석을 점유했다. 자민련이 의석을 휩쓴 15대 때도 자민련 후보들의 평균 득표율은 48%에 불과할 만큼 경쟁은 치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야 정당들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과학비지니스벨트, 서산 간척사업 등 충남도민들에 대한 구애를 끊이지 않아왔다. 이명박 전 시장은 "충청권으로 수도를 옮기면 수도권의 분산이 아니라 팽창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한 행정수도이전 계획을 노골적으로 비난했다. 17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이명박 후보는 충남에서 만큼은 34.3% 득표율로 이회창 후보에게 겨우 1% 정도 앞섰고, 이어진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단 1석도 건지지 못했다.

한편 대구의 2014년 1인당 GRDP는 1894만원으로 16개 시·도 중 16위, 꼴찌다. 이는 충남의 40.3% 수준이며, 이 꼴찌 자리도 20년째 계속되고 있다. 대구경제가 이렇게 피폐해진 원인은 역설적으로 ‘경쟁 없는 선거’에 있다. 13대 총선부터 19대까지 대구에서는 여당 공천장이면 77.2%가 당선되었다. 신한국당이 13석 중 단 2석만을 얻고 자민련에 참패한 15대 총선을 합산해도 이 수치이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도 대구는 박근혜 후보가 80.1%의 높은 득표율을 올린 지역이었다. 집토끼들이 무조건적으로 찍어주는데 지역발전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광주 역시 마찬가지다. 광주의 2014년 1인당 GRDP는 2045만원으로 16개 시·도 중 15위, 꼴찌에서 두 번째이다. 이 순위도 20년째 계속되고 있다. 이 역시 광주의 여당이라고 할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당명 변경 포함)의 13~19대 총선 의석점유율이 93.5%인 점을 보면 확인이 된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는 대구보다도 더 심해 문재인 후보가 92%라는 놀라운 득표율을 기록했다.

도 단위에서는 전북의 2014년 1인당 GRDP가 2483만원으로 충남의 52.8%에 불과해 최하위권이었다. 역시 13대부터 이 지역의 여당으로 군림해온 더더불어민주당의 총선 의석점유율도 91.8%였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는 86.2%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일방적으로 지지했다.

그럼에도 더불어민주당의 이용섭 총선정책공약단장은 27일 "이번에 일시적으로 판단을 잘못해서 국민의당을 찍으면 우리 광주는 대한민국 남녘의 소도시로 영구히 전락해버릴 것“이라고 광주시민들을 사실상 겁박했다. 30년 가까이 더민주만을 찍어온 결과가 이 같은 ‘소도시’ 전락인데 무슨 궤변이란 말인가.

친박계 새누리당의 최경환 의원도 29일 경북도당 선대위 발대식 자리에서 29일 “무소속 후보를 찍는 것은 야당을 찍는 것과 같다. 대구·경북에서 새누리당 후보 24명 모두를 당선시켜줘야 박근혜 정부가 성공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30년 가까이 밀어준 대구의 경제성적표가 그 모양인데 또 몰아달라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4월 13일은 판단을 하는 날이다. 충남처럼 실리 투표를 할 것인가. 아니면 대구와 광주, 그리고 전북처럼 맹목적인 투표를 할 것인가.  선택은 유권자의 몫이다.

 
 

최 광 웅

데이터정치연구소 소장

<돌직구뉴스>후원회원으로 동참해 주십시오. 눈치보지 않고 할 말 하는 대안언론!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당당한 언론! 바른 말이 대접받는 세상을 만드는데 앞장 서겠습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