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 메카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 메카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화려하게 데뷔해 시가총액 100조원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해 냈다. 우리가 코로나 19와 사투를 벌이던 중, 영화 ‘기생충’이 2020년 2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감독·국제영화·각본의 네 개 부문에서 상을 받은 데 앞서 방탄소년단(BTS)은 2020년 8월 미국 빌보드차트를 포함해 전세계 음원 시장에서 1위에 등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우리 대한민국이 코로나 19 사태를 계기로, 제2의 ‘한강의 기적’이란 신화를 창조할 절호의 기회를 맞은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다. 코로나 사태가 진행되면서 세계인의 모바일 의존도는 한층 높아졌다. 대한민국이 모바일 비즈니스 강국으로 우뚝 솟아오르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지 살펴본다. <편집자 주>

 

<글 순서>

1. 글로벌 컨텐츠 강국, 코리아

2. 우리의 탁월한 컨텐츠 창조력의 원천

3. 인터넷 비즈니스의 메카, 코리아

4.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통한 수익 극대화

5. 포스트코로나 시대 '제2의 한강 기적' 이룬다

[스트레이트뉴스=이호연 선임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우리 대한민국은 인터넷 비즈니스와 관련해 다른 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압도적인 환경적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우리가 처한 환경적 강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살려낸다면, 우리는 능히 대한민국을 인터넷 비즈니스 메카로 만들어 제2의 ‘한강의 기적’이란 신화를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비즈니스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의 환경적 강점과 기회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인지 살펴보자.

'무'에서 '유'를 창조한 한국인

대한민국은 전 세계인들로부터 ‘한강의 기적’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60년대 초반에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이었지만, 이제는 당당하게 10대 경제 강국 반열에 들어섰다.

대한민국은 전쟁 이후 오랜 기간 선진국으로부터 원조를 받던 나라이다. 하지만, 이제는 OECD 회원국으로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변신했다. 지구상에 이런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 개발도상국들은 우리의 산업화 또는 새마을 운동 성공사례 등을 전수받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우리의 무상원조 방식의 KSP 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지식기반 개발협력사업), 또는, EDCF(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대외경제협력기금) 프로그램을 통한 차관 사업은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전체적인 지원금액은 미국을 비롯한 다른 경제 대국에 비해 적을지라도, 작지만 알찬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제개발 초기 우리는 일본을 벤치마킹해 봉제나 가발 등의 노동집약적 경박단소((輕薄短小) 산업에 집중해 수출 경쟁력을 발휘했지만, 이제 우리의 반도체, 스마트폰 또는 5G 통신산업 등의 첨단 산업 경쟁력은 일본을 저만치 앞질러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철강산업, 자동차, 또는 조선 등의 중후장대(重厚長大) 제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도 만만치 않다. 바이오산업이나 정밀화학 등의 분야의 경쟁력도 상당하다.

일부 우주 또는 항공산업 등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두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나라는 지구상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요소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통적 굴뚝 산업의 스마트화를 추구하는 사업과 온라인 비즈니스와 오프라인 사업과의 연계를 추구하는 O2O 사업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다양한 제조와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두루두루 글로벌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가 융합력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환경적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G7에 속하는 국가들은 돈은 낮은 데서 흘러나온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무력을 동원해 약소국을 침탈하고 식민지 경영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단 한 번도 인접 국가를 침략하지 않고 세계 10위권 내의 경제 강국 반열에 올라있다. 전 세계적으로 대한민국만이 갖추고 있는 강점이다. 군사력이 아닌 문화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무기로 활용해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지원하면서 우리의 국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있다.

한국인, 반세기에 1~4차산업 융복합

대한민국이 산업화를 시작한 60년대 초반만 해도, 우리의 산업은 농업에 주로 의존했다. 당시 일부의 부농은 소를 이용해 논과 밭을 갈았지만, 다수의 농민은 그 흔한 경운기 하나 없이 호미, 괭이와 삽 등의 도구를 이용한 원시적인 노동집약적 행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대한민국 국민은 피나는 노력으로, 2차·3차 산업화 성공을 거쳐, 현재는 최첨단 4차산업 시대를 맞이해 상당한 글로벌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힘든 보릿고개로 찌든 가난한 시절을 경험했고, 3만불이 넘는 소득수준의 선진국 문턱의 삶까지 두루 경험했다. 이들은 분명 무에서 유를 창조한 세대이다. 비록 이들이 은퇴 시기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아직도 상당수는 현장에서 뛰고 있고, 2세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피와 땀과 눈물로 성공신화를 창조한 베이비부머 세대, 그리고, 모바일 문화를 중심으로 강한 개성을 강조하는 밀레니엄 Z세대가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점도 우리나라만이 가진 강점이다. 성실, 참을성, 끈기 등의 덕목과 참신성이 한데 어우러져 융합의 시너지를 창출하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이호연 스트레이트뉴스 선임기자
이호연 스트레이트뉴스 선임기자

한편, 우리나라가 고도의 압축성장을 하면서,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영역에서 양극화, 불공정 또는 부조리 현상 등이 극명하게 드러나 있다. 하지만, 이런 불리한 여건도 개발도상 국가들에게는 타산지석이 될 수 있다. 우리의 부정적 측면들을 면밀하게 분석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벤치마킹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고밀도 수도권에 융복합 인재 결집 '강점'

대한민국의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는 2천만 명 이상의 다양한 삶을 사는 인구가 밀집해 살아가고 있다. 증권이나 은행에 종사하는 금융인부터, 다양한 뿌리 산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옹기종기 밀집해 살아가고 있다.

과거 을지로 뒷골목에서는 며칠 만 시간을 주면 탱크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이야기가 회자 됐었다. 그만큼 재능이 출중하고 능력이 돋보이는 기술자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 표현일 것이다.

수도권은 퇴근 후 동창생끼리 모여 술 한 잔 기울이면서, 전혀 다른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른 전문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다.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보면, 수도권 과밀화라는 부정적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융합력을 발휘하기에 좋은 환경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24시간 365일 돌아가는 세계 최고의 전자상거래

동대문이나 남대문 시장처럼 24시간 불야성을 이루는 사례를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는 새벽 시간대에 안전의 위협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거리를 활보할 수 있지만, 어느 선진국 도시에서도 이런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간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기를 희망한다는 이야기가 자주 듣는다. 늦은 시간까지 벗들과 술 한 잔 기울일 수 있는 포장마차 추억이 그립다는 것이다. 이런 역동적인 수도권의 분위기는 분명 우리만이 가진 장점이다.

우리 국민은 거의 모든 인터넷 사업 영역에서 성공사례를 모험적으로 모방, 응용하는 패스트 팔로잉(Fast-following)하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의 전자상거래 이용 절대 금액은 세계 5위 수준이지만. 우리나라의 GDP 대비 전자상거래 이용 금액 비중이나 인구당 평균 전자상거래 구매금액은 압도적 세계 1위다.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일본에서 의류나 화장품 등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잘 팔리지 않는다. 어떻게 옷을 만져보거나 입어보지 않고 살 수 있으며, 화장품을 사용해 보지도 않은 채 광고사진만 보고 구매를 할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우리 국민이 이용자들의 사용 후기나 광고만 보고도 쉽게 구매 결정을 내린다는 것은 전자상거래 사업자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그만큼 높게 평가하기 때문일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인터넷 비즈니스와 관련된 대한민국의 사회적 자본의 축적도는 세계 최고 수준인 것이다.

세계 최고의 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 환경

우리나라는 5G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나라로 자타가 공인하는 IT 강국이다. 모바일 서비스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고, 스마트폰 보유율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UN의 전자정부 평가에서도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SNS 이용률은 87%로 세계 평균(49%)의 약 1.8배를 기록하고 있고, 아랍에미레이트(99%)와 대만(88%)에 이어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최첨단 모바일 환경 속에서 탄생한 플랫폼 비즈니스는 단연코 글로벌 비즈니스로 성장할 잠재력이 충분할 것이다.

무릇 인터넷 서비스 사업은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 접속해 트래픽이 집중되더라고 통신망에서의 병목현상이나 하드웨어 부하를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이용 빈도나 시간, 이용 태도 등의 정보를 제대로 축적하고, 모니터링하고, 추세를 예측해 시스템에 적시적으로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넷 플랫폼 비즈니스는 사업을 수행하면서 물리적 생태적으로 적시적인 변화 관리를 실행할 수 있어야 성공 가능성이 크다. 이런 측면에서 대한민국은 최적의 테스트베드 환경을 갖추고 있다.

테스트베드는 그 자체로도 상당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중요한 비즈니스 영역이다. 우리의 수도권 환경은 이런 검증작업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세계 굴지의 IT 기업들이 수도권에 R&D 센터를 두기를 희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작년 11월, 글로벌 컨설팅 회사인 AT커니가 발표한 세계도시경쟁력지수에서, 서울의 세계 도시 경쟁력은 2020년 기준 세계 17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년도보다 4계단이나 추락했다. 30위권 안에 드는 도시 중 가장 크게 하락했다. 2020년 기준 미래 성장잠재력에서 서울은 42등을 차지했는데, 이는 26위의 대만 타이베이, 37위 일본 나고야, 41위 중국 선전보다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5년 전인 2015년 서울의 미래 성장잠재력 분야에서 12위를 차지했던 것보다 30계단이나 추락한 것이다. 치솟는 집값을 견디지 못한 서민들이 서울을 빠져나가면서 서울시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집값 안정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노력이 절실할 것이다.

모바일 비즈니스 유니콘 육성 긴요

팬데믹 위기로 인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환은 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뒤흔들어 놓았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파존 등 미국의 가파(GAFA) 등의 플랫폼 기업이나 우리나라의 인터넷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상당히 커졌다. 글로벌 시가총액 최상위 기업들의 거의 대다수는 모바일 플랫폼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데이터, 네트워크, 그리고, AI 기술력이 진보하면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얼마 전 쿠팡이 뉴욕증권시장에 상장해 100조원의 시가총액을 달성했다. 조만간 베틀그라운드 등의 게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크래프톤이 상장을 앞두고 있는데, 증권가에서는 30조원의 시가총액을 예상한다.

쿠팡의 로켓배송, 마켓컬리의 신선식품 새벽 배송, 우아한 형제들의 배달음식 서비스, 그리고, SNS를 통한 라이브커머스 등은 기존의 전자상거래 사업패턴과 확연히 구별되는데, 이런 성공사례는 앞으로도 줄을 이을 것이다.

넷플릭스 등의 서비스도 우리나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한층 더 높은 고객별 맞춤형으로 진화했다. 우리나라의 테스트베드 환경이 이들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강화에 큰 도움을 주는 환경을 제공한 셈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몸부림으로 ESG(Environmental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구조) 혁신을 추구하고 있는데, 우리 대기업들의 행보가 다른 나라의 기업보다 한층 빠르고 강하다. 도덕성을 외면하고 재무적 성과만을 추구하다가는 파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우리의 리딩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이 도덕성을 상실한 경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깊이 반성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I가 뉴스나 검색어 순위 매김을 정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됐다. AI 뒤에 숨어서 잔꾀를 부리거나, 불공정 행위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늘리는 부도덕한 경영행태는 철퇴를 맞을 위험성이 높다. 인터넷 비즈니스에서의 고객, 회원, 또는 이용자들의 충성도는 순식간에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또는 애플 등의 글로벌 리딩 플랫폼 비즈니스를 부러워하기만 할 일은 아니다. 마음만 먹으면, 우리는 이들의 경쟁력을 훨씬 능가하는 글로벌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과 환경적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는 까닭에, 정부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할 것이다.

글로벌 인터넷 비즈니스 메카를 향해

중국의 라이브 커머스 열기는 대단하다. 베트남을 비롯한 다수의 아시아 국가에서도 급격하게 활성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마윈 등 중국의 유명 왕홍(왕홍(网红, 왕루어홍런)들이 초기 우리나라에서 라이브커머스와 관련된 이론과 실전 기법을 배웠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드물다. 청출어람이란 옛 속담이 이런 경우를 두고 나온 말일 것이다.

2019년 3월 400만 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중국의 뷰티 왕홍 웨이야가 K뷰티의 성지인 한국에서 화장품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진행했다. 당시 무려 458만명이 실시간 방송을 시청했고, 1초당 평균 2만 개의 제품이 팔리며 수십만 개가 완판한 바 있었다. 최근 한류 확산으로 중국이나 베트남 등에서 활약 중인 인플루언서들이 한국에서 한국 제품 판매를 위한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우리나라에 머물면서 자유롭게 라이브 방송을 할 수 있는 시설여건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숙식과 동시에 방송 촬영과 편집, 그리고,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원스톱으로 할 수 있는 복합 공간들이 다수 들어설 필요가 절실할 것이다. 아울러 동남아 국가들의 인플루언서 지원자들을 불러들여 교육하는 프로그램도 필요할 것이다. 이들은 분명 장래의 한국 제품 판매 마케터이자, 대한민국 이미지를 높일 홍보 대사 역할을 하는 아군인 까닭에 이들에 대한 투자나 배려는 조금도 아깝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역동적이고 다원화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우리의 인터넷 비즈니스 패턴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큰 수정 없이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범정부적 차원에서, 글로벌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기업들이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과감한 투자를 하는 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우리의 인터넷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플레이어로 우뚝 설 수 있는 날, 코로나 19로 시름에 겨운 대한민국의 희망이요, 포스트코로나시대에 대한민국이 갈 길이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