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가계부채, 치솟는 인플레이션 우려…“정부 금리인상 시기 저울질”

지난 4월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 2.91%...최근 15개월 내 최고치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한은이 27일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긴장감이 도는 가운데, 가계부채가 지난 3월말 기준 1765조 원까지 올라선 상황에서 지난 4월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가 2.91%로 지난 15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키우고 있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 신규취급액 기준)가 2.91%로 전월(2.88%)보다 3bp(0.0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작년 1월 기록한 2.95% 이후 최고치다.

한국은행은 금리가 오른 주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햇살론 등 보증대출이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했다.

다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73%를 기록, 전월과 변화 없었지만, 이 역시 2019년 6월(2.74%) 이후 최고 수준을 이어갔다. 반면 보증대출 금리는 2.67%에서 0.73%로 6bp 상승해 전체 가계대출 금리를 끌어올렸다.

송재창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저신용자 대상으로 금리가 높은 햇살론 대출이 보증대출로 분류되는데, 지난달 햇살론 비중이 늘어 보증대출 금리가 상승했다"며 "보증대출 가운데 일부 사업장의 고금리 이주비·중도금 대출이 실행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선 27일, 한국은행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금리를 현행 0.5%로 동결했다. 시장의 예상 대로였다. 다만 금리를 동결하며 경제성장률을 전망치를 기존 3%보다 1%p나 높은 4%로 상향 제시해 경제의 빠른 회복을 예상했다.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면 그에 걸맞게 인플레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높일 수 밖에 없다. 또 한은이 25일 밝힌 바에 따르면, 가계대출 규모가 작년 1분기 기준 1611조4000억원에서 올 1분기 1765조까지 1년 만에 53조6000억원이나 급증하는 상황이다. 자칫 자산가치 붕괴에 따른 위험이 커져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의 유혹은 커질 수 밖에 없다.

전일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가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비춘 이유가 여기 있다.

이 총재는 애써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며 확정적인 발언은 피했으나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대해서는 늦지 않게 대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자산가치 급등이 부동산에서 주식으로, 주식에서 코인으로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동안 소위 ‘빚투’로 불리는 레버리지 투자가 가계대출 증가폭을 키웠다는 데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그대로 두었다가는 나중에 더 큰 경제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 금리 인상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여전히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데 있다.

한 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경제가 살아나는 것처럼 지표를 보여주길 원하기 때문에 중소, 중견 기업들의 상환을 계속 이연시켜주고 있고, 실제 이들의 상환을 종용했다가는 어떤 파장이 올 지 모르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다만 경제는 우리나라만 독립된 영역이 아니고 전세계 시장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자산가치 상승과 가계부채 규모가 풍선처럼 커지는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는 때가 다가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6년 이후 예금은행 수신 및 대출 금리 추이(출처=한국은행)
2006년 이후 예금은행 수신 및 대출 금리 추이(출처=한국은행)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