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4일 오후 전남 광양시 금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고압산소 취급 중 폭발 사고가 발생해 3명이 숨졌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최근 5년 간 철강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사고로 75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은 철광석을 녹여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중 다수의 위험 기계를 작동하고 위험 물질을 취급해 산재 위험이 큰 수준을 보인다.

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7월까지 철강업의 산재 사고 사망자는 75명이었다..

지난 5년여간 철강업에서 발생한 사고 사망자 중 기계 등을 다루는 과정에서 숨진 사람은 53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기계 등의 끼임(20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추락(12명), 화재·폭발(11명) 등의 순이었다.

사고의 세부 원인은 총 153건으로 분석됐다.

이 중 작업계획을 수립하지 않거나 준수하지 않은 경우(79건)가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준수하기만 해도 상당수의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끼임·추락 방지 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는 등 안전 수칙을 어긴 경우도 55건이나 됐다.

원·하청 동시 작업에서는 정보 공유와 소통이 제대로 안 돼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상당하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16명이었다.

노동부는 "설비·기계 사용이 많은 철강업에서는 철저하게 위험 요인을 확인해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사망사고 감축 대책이 될 수 있다"면서 "대형 업체 등 원·하청이 동시에 작업할 경우 위험 요인에 대한 정확한 사전 공유와 작업 중 소통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노동부는 이날 박화진 차관 주재로 4개 철강사, 한국철강협회와 함께 산업안전보건리더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철강업 사망사고 현황과 정부 정책 방향, 참석 기업의 안전관리 계획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포스코는 작업절차 준수를 위해 현장 안전관리 인력을 향후 약 550명까지 증원할 계획을, 현대제철은 안전 관련 예산을 1600억원까지 확대해 기계‧설비 등의 위험요인을 발굴·개선할 계획을 밝혔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