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식품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배달앱(애플리케이션) 업체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연합뉴스
온라인 식품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배달앱(애플리케이션) 업체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연합뉴스

온라인 식품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배달앱(애플리케이션) 업체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통계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식품시장 거래액은 58조 4836억원으로 전년보다 35.3% 늘었다.

거래액은 음·식료품, 농·축·수산물, 음식서비스(피자·치킨 등 음식 배달서비스)의 인터넷쇼핑과 모바일쇼핑 거래액을 합한 것이다.

이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이 49조 3030억원으로 84.3%를 차지했고 인터넷쇼핑 거래액은 9조 1806억원으로 15.7%였다.

지난해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보다 40.3% 늘어 인터넷쇼핑(13.7%) 증가 폭을 넘어섰다.

전체 온라인 식품시장 거래액은 2017년 13조원, 2018년 19조원, 2019년 27조원, 2020년 43조원에 이어 지난해 58조원대를 기록하며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식품시장은 그동안 편리성 덕분에 지속해서 성장해 왔고 식품회사들도 온라인몰을 통합하거나 개편하는 등 온라인 시장 강화에 힘써왔다.

그러다 코로나19로 식품시장에서도 비대면 소비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더욱 성장하고 있다.

매끼에 직접 재료 손질을 해야하는 요리 대신 간편하게 한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즉석섭취식품이나 밀키트 등 가정간편식(HMR) 인기가 높아진 영향도 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면서 음식서비스 시장 성장세는 더욱 눈에 띈다.

지난해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25조 6847억원으로 전년보다 48.2% 늘었다.

음·식료품(24조 8568억원·26.3%)과 농·축·수산물(7조 9421억원·27.8%) 대비 증가율이 20%포인트(p) 이상 높다.

지난해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음·식료품 거래액을 처음으로 앞지르기도 했다.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4년 전과 비교하면 약 9.4배 수준에 달한다. 같은 기간 음·식료품 거래액은 3.1배로 농·축·수산물은 3.3배로 각각 성장했다.

이 기간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두 배가 됐다.

음식서비스 시장 성장으로 배달앱 운영회사들의 지난해 매출도 다시 한번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된다.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은 2020년 별도 기준 매출액이 1조 952억원으로 전년보다 95.2% 늘었다.

배달대행 서비스 '부릉' 운영사인 메쉬코리아의 2020년 매출액은 2564억원으로 58.8%다. 또다른 배달대행 업체 ‘바로고’는 771억원으로 69.8% 각각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일반 사기업 위주의 배달앱 외에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공공 배달 앱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의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은 2020년 12월 공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1년간 누적 주문금액이 1057억원을 기록했다. 총누적 주문은 414만건, 누적 회원도 66만명을 넘어섰다.

광주광역시의 공공 배달앱 '위메프오'도 지난해 7월 출시된 후 높은 인기를 보이고 있다. 지난 6개월간 가맹점 6600여곳, 거래 21만5600여건, 누적 매출액 52억9000만여원을 기록했다.

경북도의 공공 배달앱인 '먹깨비'는 운영 3개월 만에 가입자가 1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대형 배달앱에 비해 중개수수료가 낮고 다양한 할인 혜택 등으로 지역 사회에 빠르게 확산되는 영향이 크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