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인구 빨대 이어 지역 대학 공동화 우려 '반발'

19일 행복도시건설청과 LH에 따르면 내년 세종시 4-2생활권에 2021년 완공 목표로 60만㎡의 대학 공동캠퍼스 조성사업을 내년 착수키로 했으나 캠퍼스를 채울 대학은 손에 꼽는다. [자료 LH]
19일 행복도시건설청과 LH에 따르면 내년 세종시 4-2생활권에 2021년 완공 목표로 60만㎡의 대학 공동캠퍼스 조성사업을 내년 착수키로 했으나 캠퍼스를 채울 대학은 손에 꼽는다. [자료 LH]

세종시의 미래 성장원 확보를 위한 캠퍼스를 채울 국내외 유수의 대학 유치가 답보상태에 빠지자  급기야 인근 충청권 대학에 손을 벌리고 있다. 대전 등 충청권은 주변 인구를 빨아들이며 성장한 세종시가 지역소재 대학마저 뺏어갈 경우 인구에 이어 대학의 공동화가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19일 행복도시건설청과 LH에 따르면 내년 세종시 4-2생활권에 2021년 완공 목표로 60만㎡의 대학 공동캠퍼스 조성사업을 내년 착수키로 했다.

대학캠퍼스 조성사업은 대지조성과 임대형 교육시설 1곳(연면적 6.6만㎡), 재학생을 위한 기숙사(행복주택)이 전부다, 캠퍼스를 조성하면서 캠퍼스를 채울 국내외 유수 대학의 이름은 찾아보기 힘들다.

행복청과 LH는 공동캠퍼스에 10개 안팎의 대학이 들어도록 조성 예정이나 현재 입주가 확정된 곳은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융합의과학대학원 1곳 뿐이다. 

서울대 행정대학원과 고려대 세종캠퍼스 약학대학이 세종시 이전을 추진 중이나 해외 유수의 명문 대학은 '추진 중'이라는 말만 나올뿐 진척이 없다.

충남대와 충북대,한밭대, 공주대 등 충남권 대학들이 이전을 모색 중이나 충남대가 LH와 대토 조건으로 세종캠퍼스 이전을 추진할 뿐 나머지 대학은 답보 상태다.

LH가 세종시 대학캠퍼스에서 분양형과 임대형을 나눈 것은 궁여지책이다. 세종시에 이전의향을 제시한 충청권 대학의 재정난을 감안, 땅을 살 수 없는 대학은 자리세를 내라는 것이다. 5년 넘게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국내외 유수 대학 유치에 나섰으나 성사 대학이 KAIST 하나에 머물자, 급기야 이전을 타진한 대전과 충남북 일반 대학을 상대로 토지 임대형을 제시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행복청과 LH가 세계 최고 수준의 명문 캠퍼스 조성계획이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고 지적, 대전 등 충청권의 인구유입으로 성장한 세종시가 지역 내 대학마저 빨아들이는 기형적인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대전소재 대학의 한 교수는 "세종시는 행정도시 기능만이 있을 뿐 첨단 복합의료생명과학의 자족도시 기능을 살펴볼 수 없다"면서 "유수 기업과 대학의 유치로 산학연 융합의 미래 도시로의 발전계획은 사실상 물건너 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종시 30만 인구의 절반 이상이 대전 등 주변 도시의 이주자로서 수도권 과밀 해소를 위한 행정중심도시의 건설 취지는 이미 상싱한 상황이다"며"세종시 대학캠퍼스에 해외 대학은 물론 수도권소재 대학마저 관심을 보이지 않자 충청소재 지역 대학을 유치, 캠퍼스를 채우겠다는 생각은 인구에 이어 충청권의 공동화를 유발하는 악순환을 낳을 것이다"고 질타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