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하이테크 무기 시험장에 나타난 김정은 위원장
무기 시험, 북미정상회담 앞두고 미국에 보내는 메시지
‘완전한’ 리스트까지는 원하지 않는 미국 분위기 감지
조명균-폼페이오, 남북 철도ㆍ도로착공식 논의할 듯


[스트레이트뉴스=김태현 선임기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 15형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이후 1년 만에 신형 ‘하이테크’ 무기 시험 지도에 나서며 군사행보를 보였다.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 매체는 16일 김정은 위원장이 국방과학원 시험장을 찾아 영토 보위 및 인민군 전투력 강화를 위해 새로 개발한 첨단전술무기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시험을 마친 무기가 ‘전술적’인 첨단무기라는 점,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시절부터 개발이 추진돼 온 ‘유복자 무기(posthumous weapon)’라는 점 외에 무기의 종류나 시험 장소 등 세부적인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 CNN, BBC 등 외신들은 아래와 같이 해당 기사를 비교적 상세히 다뤘다.

“김정일 위원장이 개인적으로 직접 선택해 특별한 관심을 갖고 단계적으로 지시한 무기가 마침내 탄생했다. Chairman Kim Jong Il had chosen personally and directed step by step with his special attention paid to it was born at last.”-BBC-

김정은 국무위원장(자료:BBC) ⓒ스트레이트뉴스
김정은 국무위원장(자료:BBC) ⓒ스트레이트뉴스

“(김정은 위원장은) 이 무기가 유복자 무기와 마찬가지이고, 무기 테스트가 대단한 성공을 거두는 동안 김정일 위원장을 매우 그리워했다. (Kim Jong Un) added that the weapon is just like a posthumous weapon and he missed Kim Jong Il very much while seeing the great success of its test.”-CNN-

북한의 무기 시험에 대해 미국 몬테레이 미들버리(Middlebury) 국제연구소의 조쉬 폴락(Josh Pollack) 수석연구원은 CNN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과의 협상에 대비해 좀 더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미국이 접근 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예전 관행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올해 초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남북 간 대화 국면을 열렸고,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에 북미정상회담까지 열리면서 북한은 무력도발을 중단해왔다. 지난 9월에 열린 평양남북정상회담에서는 4ㆍ27판문점선언에 따라 ‘남북군사분야합의서’까지 채택됐다.

그러나 북한이 핵ㆍ미사일 실험 중단과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등 선제적 조치에 들어가고 ‘미국의 상응조치가 있을 경우 영변 핵시설 폐기’까지 공언했지만, 미국이 종전선언이나 제재 완화 등 어떤 상응조치도 취하지 않자, 북미관계는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서두르지 않겠다”는 발언, 북미고위급회담 취소, 핵개발ㆍ경제병진노선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북한의 으름장 등이 이어지면서 양측의 기싸움이 심화됐다.

국내외 북한 전문가들은 이번 첨단전술무기 시험 역시 그런 기싸움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다. 무기의 종류나 시험 장소가 문제가 아니라, 북미협상이 결렬될 경우 여전히 핵개발ㆍ경제병진노선으로 복귀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는 메시지라는 것이다.

신형 ‘하이테크’ 무기 시험장을 방문해 군 관계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자료:조선중앙통신/CNN) ⓒ스트레이트뉴스
신형 ‘하이테크’ 무기 시험장을 방문해 군 관계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자료:조선중앙통신/CNN) ⓒ스트레이트뉴스

대북 강경파로 통하는 미국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이어 마이크 펜스(Mike Pence) 부통령도 양측의 기싸움에 가세했다. 펜스 부통령은 15일 싱가포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솔직히 우리는 지난 수십 년 간 북한의 약속만 믿고 경제지원이나 제재 해제를 했으나 이후 약속은 깨졌다”며 “북한은 핵무기와 개발 시설을 확인하기 위한 사찰을 허용해야 하고 핵무기 폐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낙관론도 나온다. 펜스 부통령이 15일 NBC뉴스 인터뷰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전에 북한의 핵ㆍ미사일 시설에 대한 ‘완전한 목록’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소 유연한 입장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북미정상회담은 내년 초에 개최될 전망이다. 펜스 부통령은 구체적인 장소와 시간에 대해 북한과 논의 중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김정은 위원장이 매우 중대한 어떤 일을 하려고 한다”는 말도 전해 들었다고 했다. 교착 국면에서 대화 국면으로 이행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대목이다.

북미 간 기싸움이 길어지면서 교착상태가 장기화되거나 자칫 북한이 다시 1년 전으로 회귀할 경우, 한국과 미국 정부가 상당한 정치적 부담을 떠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북한이 ‘어느 정도 충족된’ 핵ㆍ미사일 리스트를 제출하고 미국이 제재 완화에 나서는 이른바 ‘빅딜(big deal)’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워싱턴을 방문 중인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한반도국제포럼 기조연설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연내에 가능하다”고 했던 발언, 그리고 오늘(16일) 저녁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가질 회담에서 ‘남북 철도 및 도로 착공식’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는 외교가의 전망도 이런 분위기를 뒷받침한다.
bizlink@straightnews.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