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연료 의무화 제도로 수소경제 확대
현대차 등과 손잡고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
수소에너지, 재순환·고갈 우려 없어 각광받아

정세균 국무총리(사진 중앙)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정세균 총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사진 중앙)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정세균 총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정부가 ‘수소경제’를 확대하기 위해 육성안을 도입하고 인프라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낸다. 수소에너지가 재순환이 가능해 고갈 우려가 없고 연소 시 물만 배출하면서 청정에너지로 관심받고 있는 만큼 미래먹거리로 육성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5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수소연료전지로 생산한 전력의 일정량 구매를 의무화하는 제도의 도입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수소제조용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개선해 가격을 최대 43% 인하하고, 민관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상용차 수소충전소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다.

우선 정부는 수소경제 확대의 핵심인 수소연료전지의 체계적인 보급 확대를 위해 2022년까지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HPS)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 제도는 태양광과 풍력 등이 모두 포함된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RPS) 제도에서 연료전지만 분리해 별도의 의무 공급시장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내년까지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을 개정해 수소법상 수소기본계획에 중장기 보급 의무를 설정하고, 경매를 통해 친환경·분산형 연료전지 발전전력을 구매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40년 연료전지 보급량 8GW(기가와트)를 달성하고 향후 20년간 25조원의 투자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또 정부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추출수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소제조사업자 중심으로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기존 도시가스사(社)만 공급이 가능했던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바꿔 한국가스공사가 대규모 수소제조사업자에게 천연가스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가스공사가 수요자 맞춤형으로 계약을 별도 체결해 가스를 공급하는 제도인 ‘개별요금제’를 기존에 발전용에만 한정했던 것에서 수소제조용까지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수소제조사업자가 최근 하락한 가격으로 천연가스를 별도 수입할 수 있다. 10월 기준 가스공사 천연가스 도입 평균가격은 MJ당 약 9원대나, 개별요금제를 통해 현재 시장가로 도입할 경우 약 30%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소 관련 정부 예산도 올해 5879억원에서 다음해에 7977억원으로 35%가량 대폭 확대된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기업들과 협력해 도심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특수목적법인 '코하이젠'(Kohygen)을 설립한다.

특히, 재계에서는 수소경제위원회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참여하고 있어 정부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의견도 상당수 포함돼 육성안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날 위원회에 앞서 열린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정세균 총리와 산업부·환경부·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를 비롯해 부산시·인천시·울산시·전북도·경남도 등 지자체, 한국지역난방공사, 현대자동차·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현대오일뱅크·E1·SK가스 등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많은 기업이 참여할 정도로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것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7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1회 수소경제위원회'로 이동 중에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용수 기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7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1회 수소경제위원회'로 이동 중에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용수 기자]

이중에서도 현대차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에너지 업계 등과 손잡고 2023년까지 상용차 수소충전소 35개를 설치하기로 협약을 맺으면서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코하이젠'은 다음해 2월 이내로 공식 출범을 하게 되는데 기체 방식의 상용차 수소충전소 10개를 올해 안으로 설치할 예정이며, 2023년에는 액화 수소 방식 수소충전소 25개 이상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코하이젠이 구축하게 될 액화 수소 방식의 수소충전소는 기체 방식 충전소와 비교하면 수소 연료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도심 내 주유소와 같은 좁은 부지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저장 효율도 뛰어나 대용량 수소 충전을 가능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 입장에서도 수소차 시장을 더욱 육성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소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정의선 회장은 수석부회장직을 맡던 시절부터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강조하고 지난 2018년에는 수소전기차인 넥쏘를 선보이며 수소모빌리티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그는 지난 7월 ‘수소모빌리티+쇼’를 직접 챙길만큼 수소에너지 분야에 큰 애정을 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수소 버스 라인업을 확대개발 중이며, 대형 수소 트랙터도 출시했다. 준중형과 중형 트럭 전 라인업에도 수소전기차 모델을 마련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수소 상용차를 국내 시장에서 2만2000대, 북미 시장에서 1만2000대, 중국 시장에서 2만7천대 등 8만대 이상을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대차는 차량 판매뿐 아니라 수소차 리스, 수소 충전소 운영, 수소 공급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걸친 비즈니스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한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수소 상용차 개발과 보급에 대한 의지를 재차 밝힌 바 있다.

 수소경제는...

 

수소가 우리 삶의 에너지원인 경제를 일컫는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의 교수 리프킨(Jeremy Rifkin)가 이 개념을 첫 주창했다. 그는 2002년 발표한 ‘수소경제(The Hydrogen Economy)’라는 책을 통해 2020년이면 전 세계적인 석유생산량이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다고 예측했다. 석유생산량이 줄어들면 가격과 공급체계가 불안정해져 석유를 확보하려는 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석유를 대신할 에너지원을 찾아야 하는데, 리프킨은 이를 수소라고 본 것이다.

수소에너지의 장점. (산업연구원(KIET))
수소에너지의 장점. (산업연구원(KIET))

 

수소는 우주질량의 75%를 차지한다. 석탄이나 석유 등과 같이 고갈될 위험이 적고, 지구상에서 가장 구하기 쉽다. 물의 분해로 생산도 가능하다. 공해를 배출하지 않고 원자력처럼 방사능 오염의 위험도 적다. 최상의 미래 에너지원으로 손꼽는 배경이다.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2003년 ‘수소인프라, 연료전지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발표을 한 뒤 미국 에너지부는 수소에너지 로드맵을 내놓았다. 골자는 2004년부터 ‘대통령 수소에너지 이니셔티브’에 5년간 17억 달러 투자다. 앞서 고이즈미 전 일본 총리도 2002년 ‘연료전지 자동차와 가정용 연료전지를 실용화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수소경제의 후발주자인 중국의 '수소경제'를 향한 질주가 무섭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이미 글로벌 수소경제 톱을 겨냥한 '수소굴기'를 선언했다. 그 전략은 '135 국가전략성산업 발전규획'과, '에너지기술혁명혁신 행동계획(2016~2030)', '중국 제조 2025' 등에 담겨 있다.

 

중국 정부는 수소전기차를 중점 육성대상 산업으로 지정, 수소전기차 생산을 2020년 5,000대에서 2035년 5만대, 2030년 100만대 보급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중국은 오는 2030년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의 자국 시장 규모를 1조 위안(180조원)으로 추정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수소경제 동향' 보고서에서 

2050년 전세계 수소경제가 연간 2조5.000억달러(약 3,00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특히 이산화탄소 없는 그린 수소 에너지원 기술 확보와 경제성 높은 응용 기술, 인프라 구축이 글로벌 수소경제 주도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