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공급대책과 설 연휴 겹치며 시장 움직임 둔화
이사철 시작되는 3월초까지 정책 효과 지켜봐야

2월 셋째 주 수도권 주요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자료:부동산114
2월 셋째 주 수도권 주요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자료:부동산114

[스트레이트뉴스 김영배 기자]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이 축소됐다. '2·4공급대책'과 설 연휴가 겹치면서 수요층 일부가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상대적으로 외곽지역에 위치하거나 저평가 이슈가 있는 지역에서의 상승폭은 여전히 높았다. 때문에 2·4대책 효과에 따른 추세 변화 여부는 이사철이 본격화되는 3월초까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단기 급등했던 전셋값도 가격 부담이 커진 탓인지 5주 연속 상승세가 둔화됐다. 하지만 여전히 0.10% 이상의 높은 주간 상승폭을 나타내고 있어 '안정'이라는 표현을 쓰기에는 여전히 이르다는 지적이다.

21일 부동산114 시세조사를 보면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0.14% 올랐다. 이는 전주(0.17%) 대비 0.03%p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다. 재건축 아파트 0.16%, 일반 아파트는 0.14%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0.15%, 신도시는 0.13% 올랐지만 서울처럼 상승폭은 줄었다.

서울은 25개구가 모두 오른 가운데 도봉·성북·노원 등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에서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또 강동과 송파 등 재건축 사업추진 기대감이 있는 지역들도 오름폭이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봉(0.32%) △성북(0.29%) △강동(0.28%) △노원(0.26%) △송파(0.24%) △마포(0.22%) △관악(0.21%) △강서(0.20%) 순으로 상승했다.

도봉은 수요층이 일부 관망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매물이 적어 호가가 높게 유지됐다. 창동 상계주공18단지, 방학동 대상타운현대, 쌍문동 동익파크 등이 1000만~2500만원 올랐다. 성북은 길음동 길음뉴타운2단지푸르지오, 석관동 두산이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 강동은 물건부족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명일동 삼익그린2차, 우성, 신동아 등 구축아파트가 2500만~70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전반적으로 거래가 한산해진 가운데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관망하는 분위기다. 지역별로는 △평촌(0.22%) △일산(0.18%) △위례(0.18%) △산본(0.17%) △파주운정(0.16%) △중동(0.15%) 순으로 올랐다.

평촌은 평촌동 초원부영, 귀인마을현대홈타운, 호계동 목련7단지우성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일산은 일산동 후곡12단지주공, 장항동 호수2단지현대, 주엽동 문촌7단지주공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위례는 장지동 위례24단지꿈에그린과 창곡동 위례호반베르디움이 1000만~3500만원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의정부(0.28%) △수원(0.23%) △용인(0.23%) △의왕(0.22%) △파주(0.21%) △오산(0.20%) △시흥(0.18%) 순으로 올랐다.

GTX 호재와 저평가 이슈로 의정부는 전주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신곡동 e편한세상신곡파크비스타, 호원동 망월사역신일엘리시움이 1000만~2500만원 상승했다. 수원은 율전동 서희스타힐스1단지가 1000만원, 조원동 수원한일타운이 500만원, 권선동 수원권선자이e편한세상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용인은 중동 어정마을롯데캐슬에코1단지와 영덕동 용인기흥효성해링턴플레이스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겨울 비수기와 연휴 영향으로 수요층 이동이 제한되며 전반적으로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 0.16%, 경기·인천과 신도시는 각각 0.10%, 0.07% 올랐다. 상승폭은 모두 전주에 비해 축소됐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2·4 공급대책이 발표되고 보름 가량 지나면서 대책의 효과를 지켜보려는 매수자의 관망세가 감지된다"며 "구체적인 공급대상 후보지가 결정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공공이 주도하는 정비사업에서의 신규 매입은 현금 청산되기 때문에 공공이나 민간이 재개발·재건축을 진행할지 여부에 따라 보유주택에 대한 가치평가가 다시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또 "청산 가능성이 낮은 신축아파트가 아니라면 매수자 입장에서는 적극적인 매입에 나서기 어렵고, 구축을 소유한 매도자 입장에서는 입주권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어 본인 집에 대한 가치평가가 불명확해진 상황"이라며 "2·4대책에 따른 시범지역이 확정되거나 법적인 권리관계 내용들이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줄다리기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