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지배구조 개편작업 가속화된다
이재용 석방 이후 삼성 투명성 제고 위한 조치 집단지배체제 포함해 지배구조 개편 필요성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이는 이재용 부회장(사진)이 지난 달 가석방으로 풀려난 뒤 삼성 내부에서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9월 30일 삼성준법감시위원회가 발간한 ‘2020년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삼성 준법감시위는 삼성 지배구조 개편 과제를 후속과제 중 하나로 꼽았다. 준법위는 “앞으로 경영권 승계, 노동, 시민사회 소통 등 3대 준법 의제 관련한 후속 방안을 검토하고 실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준법위는 “삼성 관계사의 TF가 추진하는 외부 컨설팅 용역 결과를 검토해 삼성의 지배구조 관련 개선 활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은 지난해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 핵심 관계사들이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용역을 맡겼으며, 올해 하반기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삼성 내부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해 5월 대국민 발표에서 자녀에게 경영 승계를 하지 않겠다며 ‘4세 경영 승계 포기’ 의사를 밝힌 이후 전문경영인이 이끄는 집단지배체제 등을 포함한 지배구조 개편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삼성은 BCG 보고서가 나오는대로 세부 검토를 마친 뒤 로드맵을 마련하는 등 본격적인 지배구조 개편에 착수할 방침이다.
오너 체제에서 전문경영인 체제로의 전환, 지주사 설립 등 다양한 방안들이 심도 있게 검토될 전망이다.
삼성이 현재 사업지원(삼성전자)·금융경쟁력제고(삼성생명), EPC(설계·조달·시공) 경쟁력강화(삼성물산) 등 사업부문별로 쪼개진 3개 태스크포스(TF)를 하나로 묶어 ‘통합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방안이 검토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삼성의 적법한 노사관계 정착과 관련해서는 관계사의 노사관계자문그룹 등과 소통을 강화하고, 삼성 관계사의 노사교섭 등 현황을 주기적으로 보고받으며 노사관계에서 위법이 발생하지 않도록 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