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또 통신장애…피해 49만명 보상 불확실

9일밤 1시간 동안 송출 오류 반복되는 KT 통신장애 피해 KT새노조 ”일시적 실수 아냐“

2022-01-10     신용수 기자
지난해 10월에 전국적 통신장애로 뭇매를 맞았던 KT가 새해에 또다시 서비스 장애로 비판받고 있다.

지난해 10월에 전국적 통신장애로 뭇매를 맞았던 KT가 새해에 또다시 서비스 장애로 비판받고 있다.

KT의 IPTV 서비스 ‘올레TV’에서 9일 밤 11시께부터 일부 채널이 방송되지 않는 장애가 발생했다. 약 49만명의 가입자가 약 1시간에 걸쳐 장애를 겪었으나 보상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에 KT의 제2노조인 KT새노조는 회사 내부에서 연달아 통신장애가 발생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개선 조치가 없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KT에 따르면 서울과 경북, 대구, 부산 등 일부 지역의 가입자들은 KBS, MBC, SBS, EBS를 비롯해 지상파와 일부 종합편성채널 등의 영상과 음성이 나오지 않아 불편을 겪었다.

해당 문제는 9일 밤 10시 42분부터 11시 40분까지 전국 곳곳에서 일부 채널의 영상과 음향이 나오지 않는 건이었다.

이번 장애는 지역과 관계 없이 일부 셋톱에서 발생했다. 피해를 입은 가입자는 전체 916만명 중 최대 49만명일 것으로 KT는 추산했다.

송출이 되지 않은 채널은 전체 304개 중 205개였다.

이와 관련돼 과기부와 KT는 전날 장애의 원인을 인터넷프로토콜TV(IPTV) 채널 신호분배기의 전원 공급장치에서 발생한 이상 탓이라고 봤다.

다만 이번 장애와 관련해 약관을 근거로 한 보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

KT IPTV 서비스 약관은 3시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월 누적 장애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배상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보상 여부에 대해 "추후 결정되는 대로 알리겠다"고 말했다.

구현모 KT대표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라이브 랜선 신년식을 개최했다. KT 제공

이와 관련돼 KT새노조는 지난해 10월 25일 부산에서 시작된 전국통신장애가 생긴지 불과 두 달도 지나지 않은 상황서 또다시 통신장애가 발생해 KT내부 구성원들이 위기감을 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KT새노조는 10일 논평을 통해 “지난 부산발 장애 후 KT내부에서는 네트워크 안정 구호만 외치는 등 실질적인 개선 조치가 전혀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면서 “구현모 사장이 ‘통신인프라의 안정 운영은 우리의 책임이자 사명’이라고 강조했지만 통신장애, 개통지연 등 운영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KT새노조는 "구현모 체제에서 유독 쏟아지는 통신대란을 계속 일시적 실수로만 치부해서는 대책이 나올 수 없다"며 "설비투자를 줄이고 통신 기술자를 홀대하는 기업문화의 혁신 없이는 통신에서의 망운영 안전성조차 담보하기 어러울 수 있다는 내부 경고에 경영진은 귀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 3년간 설비투자비를 줄여오면서 경영진은 100억 원 상당의 주식을 성과급으로 챙겨 간 반면, 망 안정성은 떨어지고 심각한 네트워크 장애가 계속 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KT 주주와 이사회는 아현화재·부산발 전국장애·계속되는 전국 규모의 장애에 대한 책임을 구현모 사장과 경영진에게 물어야 한다"며 "통신망 안정을 위한 물적, 인적 투자 강화를 통해 본질 경영에 충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