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경제연구소, '쌀 소비 확대와 식습관 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쌀밥 식단 우수성 고려한 소비촉진 및 쌀 산업 발전방안 모색
농협중앙회 농협경제연구소는 1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쌀 소비 확대와 식습관 개선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최근 우리나라의 쌀 산업은 지속적인 쌀 소비 감소와 쌀값 하락으로 매우 어려운 위기에 놓여있다. 특히, 2021년 기준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9kg으로 먹거리 다양화와 다이어트를 위한 탄수화물 기피 등으로 인해 30년만에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쌀밥이 비만의 주요인이라는 국민들의 오해를 해소하고, 시대적 먹거리 소비 패턴에 부합하는 다양한 쌀 소비 촉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황성혁 농협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현재의 쌀 공급과잉은 생산보다 소비가 빠르게 감소하는데서 기인한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다. 황 연구위원은 "지속가능한 쌀 산업 발전을 위해선 시장격리 의무화, 전략작물 직불제 활성화 등을 통한 쌀 공급 감소 및 쌀농가 경영안전 지원 강화 노력과 함께 쌀 수요확대를 위해 소비자 선호를 반영한 쌀 고급화 및 가공상품 다양화, 쌀 가치에 대한 국민공감 확산 등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교수는 한식과 서양식을 비교한 임상실험 결과, 한식군이 양식군에 비해 체지방 감소와 당대사 기능 개선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강 교수는 "쌀밥, 국, 김치, 반찬 등 주부식이 분리된 전통 한국식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지방이 잘 조화된 균형잡힌 식단"이라며 "다양한 질병 예방을 위해서라도 우리 전통 식문화를 계승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관은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쌀밥 중심의 한식이 빵 중심의 서양식보다 심혈관 질환 예방과 대사성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정서안정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은 “쌀값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업인들을 지원하고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쌀 소비 확대방안을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며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민족 고유의 식생활 문화를 복원하고, 쌀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지혜를 모아 나가자”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성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