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비대면 채널 위주로 다수의 금융 앱 중복 활용"
우리금융硏 'MZ세대의 금융플랫폼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
MZ세대는 모티즌(모바일+네티즌)답게 비대면 채널 위주로 거래하면서 다수의 금융 앱을 중복으로 활용하고 간접투자보다는 주식, 가상자산 등 직접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게임형 부가서비스, 이벤트 등 재미와 흥미 요소를 중요시하고 SNS와 같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모바일 채널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26일 'MZ세대의 금융플랫폼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를 발간한다고 25일 이같이 밝혔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전문 업체인 컨슈머인사이트에 의뢰하여 10월 27일~11월 7일 동안 만19~41세에 해당하는 전국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디지털 생태계에 익숙한 MZ세대는 지점보다는 모바일 플랫폼 중심의 금융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97.6%가 시중은행 앱 외에도 인터넷전문은행이나 핀테크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유저(multi-user)인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의 86.8%는 평소 금융거래 시 비대면 채널을 이용하고 있고, 최근 3개월 동안 지점을 방문한 비중이 42.4%에 불과해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금융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 유형별 사용 앱은 시중은행 95.5%, 인터넷전문은행 75.7%, 기타은행 10.5%, 지방은행 6.2% 순으로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을 주로 활용했다.
투자해 본 금융상품 중에서는 예적금과 같은 기본 상품 다음으로 주식, 가상자산 등의 직접투자 방식을 펀드(간접투자)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가 경험해 본 금융상품은 예적금·청약(84.6%), 주식(직접투자) 63.5%, 보험(연금 포함) 44.3%, 가상자산 30.8%, 펀드(간접투자) 28.4% 순이었다.
재미와 흥미를 중요시한다는 MZ세대의 특성대로 앱 참여를 유발하기 위해 오락성이 가미된 게임형 부가서비스(챌린지, 미션 등)와 이벤트(경품 추천 등)에 높은 참여와 만족도를 보였다.
이번 조사대상의 71.1%가 게임형 부가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고, 경험자의 54.9%는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MZ세대 중 상품·서비스 가입 혜택, 경품 추천 등 광고 목적의 일회성 이벤트에 참여한 경험은 86.1%로 높으며, 이 중 50.1%가 만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MZ세대 56.4%가 온라인 커뮤니티, SNS, 유튜브 등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해 금융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플랫폼 중심의 금융 라이프 스타일을 재확인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MZ세대는 모티즌답게 경제활동 대부분을 디지털 플랫폼 내에서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금융시장은 MZ고객을 잘 이해하고 우수한 평가를 받는 플랫폼이 주도할 전망"이라며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금융' 본연의 가치에 가장 잘 부합하는 앱 개발에 주력하고, MZ세대의 흥미와 재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게임형 부가서비스와 이벤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성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