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코인 공동창업자, 'AI시대 개인 고유성' 중요
알렉스 블라니아 툴스포휴머니티 CEO 방한 간담회 홍체인식 기반 월드체인 확장으로 금융 네트워크 강화
"인공지능(AI)이 주도하는 인터넷 시대에서는 개인의 고유성이 중요해집니다. 현재는 게임, 크립토 회사들이 월드 ID를 사용하고 있지만 1∼2년 뒤에는 엑스(X·옛 트위터), 메타 등 SNS 회사들이 월드 ID의 주요 사용처가 될 겁니다."
생성형 AI 챗GPT를 만든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개발해 지난해 7월 정식 출시한 홍채 인식 기반 가상자산 ‘월드코인’의 프로젝트 툴을 개발하는 기업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 이하 TFH)’의 CEO 겸 공동창업자 알렉스 블라니아(Alex Blania)가 3일 방한해 기자간담회를 열어 위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월드코인 프로젝트와 기술을 설명했다.
알렉스 블라니아 TFH CEO 겸 공동창업자는 “월드코인은 인류 대다수가 소유하는 글로벌 신원 및 금융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라며 “월드코인의 핵심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신원 증명 프로토콜인 월드ID”라고 강조했다.
월드 ID는 개인이 첨단 카메라인 오브(Orb)를 통해 인증한 월드ID를 받은 후 디지털 상에서 현실 세계의 실제 인간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오브는 AI 시대에 신원 증명을 위한 수요가 증가해, 이를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기술이라는 게 주최 측 설명이다.
알렉스 블라니아는 “월드 앱은 월드 ID의 첫 번째 프론트엔드(front-end)로, 오브를 통해 개인이 인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하고, 월드 ID 인증을 안전하게 저장하며, 암호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타인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해당 인증을 공유한다.”라며 “우리의 비전은 전 세계적으로 분산형 금융 인프라에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월드 ID를 전세계 다양한 지갑과 통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핵심 요소인 월드체인의 최근 업데이트 상황이 공유되었다.
월드코인 재단이 4월에 월드체인을 발표한 후, 7월 개발자를 위한 프리뷰(preview)를 출시한 바 있다.
알렉스 블라니아는 “최근 하이퍼레인(Hyperlane), 모랄리스(Moralis), 도라(Dora), 브리지(Bridge)와 같은 주요 블록체인 및 웹3 개발 플랫폼과 통합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협업은 월드체인의 기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의 목표는 디지털 세계를 더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접근 가능한 곳으로 만드는 것이다. 월드코인,월드 ID, 월드 앱, 월드체인과 함께하는 여정은 이제 시작에 불과한다. 지속적인 혁신과 협업을 통해 디지털 신원과 금융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월드체인(World Chain)은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성장에 맞춰 인간을 우선시(prioritize humans)하고 확장 가능한 새로운 블록체인이다. 알케미(Alchemy), 엘립틱(Elliptic), 파이어블록스(Fireblocks), 세이프(Safe)와의 중요한 인프라 협업 외에도, 하이퍼레인(Hyperlane), 모랄리스(Moralis), 브리지(Bridge), 언리미트(Unlimit)와의 통합 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툴스 포 휴머니티(TFH)는 더 공정한 경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기술 기업이다. TFH는 월드코인의 초기 개발을 주도하고 월드앱을 운영하지만, 월드코인 재단과는 관계가 없으며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