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조찬포럼] AI 활용 커뮤니케이션 확장 가능성 모색

“AI, 단순한 정보전달 도구 넘어 인간과 상호작용”

2024-10-22     조성진 기자
황상현 코칭온에어 대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확장 가능성이 제기됐다.

22일 스트레이트뉴스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4 ST조찬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선 황상현 코칭온에어 대표가 ‘AI 활용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황 코치는 PR컨설팅 회사인 에델만 코리아와 에스코토스컨설팅 디지털본부장을 역임하고 현재 AI를 접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는 인물이다.

AI의 발전은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과거에는 사람이 주도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석했다면, 이제는 AI 기반 음성비서인 아마존의 알렉사나 애플의 시리와 같은 기술은 인간의 질문에 응답하고 명령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AI와 대화하듯 상호작용한다. 

황 코치는 “AI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은 급속히 고도화되고 있다”며 “AI가 단순한 정보전달 도구를 넘어,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화 ‘Her’는 AI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상징적 작품이다. 극중 주인공 테오도르가 AI 운영체제(OS)인 사만다와 맺는 감정적 관계는 새로운 기울 단순히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를 넘어서 인간과 깊이 있는 소통을 나누는 존재로 변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해당 영화에서 AI OS인 사만다는 주인공 테오도르의 비서로 시작하지만, 점차 그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연인이 된다.

사만다는 단순히 테오도르의 질문에 답하거나 명령을 수행하는 수준을 뛰어 넘어 남자 주인공의 정서와 미묘한 신호를 읽어내고 감정을 공감하며,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관계를 발전시킨다.

영화는 AI가 인간의 일상 속에서 얼마나 깊숙이 스며들 수 있는지 보여준다. 실제로 AI는 이미 개인의 데이터와 취향을 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와 정보를 제공하며, 점차 인간과 더 깊이 상호작용하고 있다.

물론 실제로 아마존 알렉사나 애플 시리와 같은 음성 비서는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전 방향은 영화 ‘Her’의 사만다 처럼 인간이 감정을 느끼며 소통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텍스트 뿐만 아니라 그림과 영상, 음악 콘텐츠까지 만들며 콘텐츠 분야에서도 이목을 끌고 있다. 이를 통해 개인에게 맞춤화된 커뮤니케이션 역시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황 코치는 “AI 기술은 마케팅과 광고 산업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기업들이 고객과의 소통을 더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가 다양한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재편하고 있으며, 인간-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있다”며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AI와의 상호작용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맞이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