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카드사 2곳서 3월 목표 준비..교통카드 ‘꽝’

일각서 신규 카드사 2월 론칭 주장..확정된 것 없어 반독점 이슈 조사 지지부진, 서비스 도입 의미 퇴색 윤영희 의원발 교통카드 론칭 희망..현실은 정반대

2025-01-17     조성진 기자
애플페이. 애플 홈페이지 화면.

을사년인 2025년, 국내 카드사 2곳이 3월 론칭을 목표로 애플페이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유럽과 달리 공정거래위원회의 반독점 이슈 조사가 명확한 성과를 드러내지 못하면서, 금융위원회가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 당시 기대한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 기반 신서비스 연구개발 의미도 퇴색됐다.

이밖에 아이폰 사용자가 수년간 기다린 교통카드 도입은 여전히 타협에 난항을 겪으며 협상지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신규 카드사, 애플페이 2 론칭설 ‘갸우뚱


17일 지급결제업계에 따르면, 국내 카드사 2곳이 3월을 목표로 애플페이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

지급결제업계 한 관계자는 “여론에선 카드사 1곳이 2월 중 애플페이를 론칭할 것이란 기대감이 있다”며 “사실은 카드사 1곳이 아닌, 2곳이 동시 론칭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사가 금융 규제 당국에 보안 규격 관련 서류를 제출할지 말지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진척 상황을 따졌을 때 2곳 카드사 모두 2월 론칭은 어렵고 3월을 목표로 애플페이를 준비 중”이라며 “다만 정확히 표현해서 아직 론칭 여부가 확정된 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지급결제업계에서 거론되는 2곳 카드사는 “애플페이 론칭 여부에 대해 답변드릴 수 있는 게 없다”는 입장이다. 애플페이를 계약하는 카드사는 서비스 론칭 직전까지 절대적으로 비밀을 지켜야 하지만, 최근 계약 당사자 중 한 카드사 실명이 공개됐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페이 결제망 연동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통신사업자(VAN)가 정보를 흘린 것 같다”며 “애플 입장에선 (단순 추측이 아닌) 진짜 계약 당사자 실제 이름이 거론된 게 매우 황당하고 당혹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애플이 기밀유지서약이 깨진 걸 문제 삼아 애플페이 계약 자체를 뒤집을 것 같진 않다”며 “서비스 론칭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권은 전적으로 당사자들에게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2곳 카드사가 애플페이 도입을 준비 중이지만,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카드사가 결제 수수료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서 시장 파급효과가 얼마나 클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애플의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 서비스 개시일인 지난달 21일 서울 용산구 이마트24 R한남제일점에서 한 시민이 애플페이로 상품을 결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애플페이 반독점 이슈, 공정위 침묵


애플은 애플페이 결제를 위해 아이폰의 근거리무선통신(NFC) 칩을 사용하지만, 이를 타사 결제 서비스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했다.

유럽에선 이미 판결이 끝난 애플페이 반독점 이슈 조사 진척도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유럽연합(EU) 위원회는 지난 2020년 애플페이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시작했다. 이후 EU는 2022년 5월, “애플이 지배적인 지위를 남용했다”고 주장하는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애플은 지난해 1월 “경쟁사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에서 NFC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내용의 시정안을 냈다. 

그리고 지난해 7월 EU 반독점 규제 당국은 “애플이 유럽 지역에서 아이폰의 탭앤고(tap-and-go)에 사용되는 NFC 기술을 제삼자 개발자에게 공개하고, 페이스 ID 인증과 같은 iOS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애플페이 반독점 이슈는 국내에서도 거론됐다. 이용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3년 3월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에서 애플페이의 반독점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 이슈를 지적했다. 

당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순간을 넘겼지만, 아직까지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않았다. 

당초 현대카드가 애플페이를 도입을 시도할 때 금융위원회는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의 개발·도입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허용했으나, 여전히 반독점 이슈 조차 해소되지 않은 것이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기업이 EU에 법인을 세우고 현지에서 서비스를 하는 게 아니라면, 애플페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은 불가능하다”며 “국회나 언론에서 관련 질의를 해도 공정위는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집권하는 4년동안 ‘이슈를 조사 중’이라고만 대응하고 순간 순간을 넘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장 다음주 트럼프가 집권하면, 주한미군 철수 부터 관세 이슈까지 한국을 압박해 올텐데, 정부 입장에서도 굳이 애플페이 반독점 이슈를 꺼내서 좋을 게 하나 없다”고 덧붙였다.

공정거래위원회 건물 전경. 연합뉴스 제공.

 


◆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대?..당사자 논의 ‘도돌이표’


2023년, 현대카드는 정태영 부회장 주도로 금융 규제 당국을 설득하고 애플페이를 국내시장에 도입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애플페이는 2025년 1월에서도 여전히 ‘반쪽페이’ 평가를 받는다. 

플라스틱 실물 카드가 아닌, 모바일로 애플페이를 사용하려면, NFC 방식을 통한 EMV(유로페이·마스터·비자) 결제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필수다.

하지만 단가 이슈 탓에 아직 많은 중소형 오프라인 가맹점이 애플페이 지원 단말기를 매장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교통카드 기능 도입 가능성이 여전히 어두운 상황이다.

아이폰 사용자들 사이에서 교통카드 기능 지원은 숙원과 같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2023년 3월 한국에서 애플페이가 론칭되고 같은 해 11월 아이폰 신형 모델이 등장했는데, 당시 모바일 기기를 바꾼 많은 고객들이 통신비 납부를 위한 신용카드를 현대카드로 바꿨다”며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 보단 교통카드 지원 기대가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영희 서울시의원은 지난주 애플코리아에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를 쓰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애플코리아 측은 “협력사와 논의 중이고 (교통카드 연동된 애플페이를) 한국에 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물리적으론 당장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애플페이 도입 후 서울교통공사에서 개찰구를 최신형으로 전면 교체했는데, 교통카드 연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폰 사용자가 실물카드를 탈부착 지갑에 넣어 개찰구를 찍을 때 느닷없이 애플페이 화면이 등장하는 게 그 증거다.

2023년 10월 카드고릴라 설문조사 결과 아이폰 사용자의 42%가 교통카드 기능 추가를 희망했다. 카드고릴라 제공.

다만 당사자들 사이에선 교통카드 도입을 위한 수수료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업계 전망은 암울하다. 현재도 카드업계는 티머니 측에 교통카드 수수료로 1.5%를 지급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취재 결과, 만약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카드사가 교통까지 지원한다면 약 0.08%의 수수료를 추가로 부담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와 애플, 티머니 3자가 서로 수수료에 대해 한치의 양보도 하지 않고 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개인적인 생각으로 0.08% 정도는 카드사가 마케팅 비용으로 염두하고 진행해야 했다고 생각한다”며 “그걸 또 티머니와 분담하려고 했는데 서울시의회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티머니 지분 36.16%를 보유한 대주주다.

서울시가 티머니의 애플페이 수수료 분담 안건을 막은 건 재정부담이 원인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가용자금은 566억원에 불과했다. 임직원 연말 평가급 1404억원 조차도 지급하기 어려워 부채 차입까지 검토했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페이 교통카드 도입을 위한 협력사 논의는 2년 전부터 계속 있었다”며 “3자 협력사가 지금처럼 수수료 이슈에 대해 한치의 양보도 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한국 시장에서 애플페이 도입은 앞으로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