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5% 관세 '캐나다·멕시코'에 국내 대기업 해외법인 201곳 운영…삼성·현대차 96곳
CXO연구소, 88개 대기업집단 대상 현황 조사… 한화·LG·포스코 등도 10곳 이상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며 사실상의 관세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양 국가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의 대응전략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한 달 간의 시행유예로 본격적인 시행 시기는 아직 조율의 여지가 남아 있지만 국내 대기업도 관세 폭탄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4일 CXO연구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지정한 88개 국내 대기업집단에서 양 국가에 진출한 해외법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삼성이 70여 곳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현대차·한화·LG·포스코 그룹도 10곳 넘는 해외법인을 두고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201곳 중 110곳은 캐나다, 91곳은 멕시코에 각각 분포했다. 물론 캐나다와 멕시코에 있는 해외법인이라고 해서 모두 관세 폭탄을 맞는 것은 아니다.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조 기업들이 직접적으로 관세 폭탄에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양 국가에 진출한 단순 해외법인 숫자 현황만 살펴보면 삼성이 68곳으로 최다였다. 삼성은 캐나다에 50곳, 멕시코에 18개의 회사를 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삼성은 멕시코에 ▲Samsung Mexicana S.A. de C.V ▲Samsung Electronics Digital Appliance Mexico, SA de CV ▲Harman de Mexico, S. de R.L. de C.V. 등의 법인을 통해 전자 및 오디오제품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뒤를 이어 현대차가 28곳의 해외법인을 두고 있는데 16곳은 멕시코, 12곳은 캐나다에 해외 계열사를 운영 중이다. 현대차 그룹 계열사인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는 각각 멕시코에 ▲Hyundai Motor de Mexico ▲Kia Mexico, S.A. de C.V(KMX) ▲Hyundai Mobis Mexico, S.De R.L. De C.V. 법인 등을 통해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와 판매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한화도 14개의 법인을 멕시코(12곳)와 캐나다(2곳)에서 운영 중인데, 상당수는 태양광 관련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제조업 중에서는 멕시코에서 운영 중인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를 통해 자동차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LG도 11개 법인을 멕시코(8곳)와 캐나다(3곳)에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중 캐나다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실질 지배하고 있는 ‘Nextstar Energy Inc.’를 통해 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멕시코에는 ‘LG Electronics Reynosa S.A. DE C.V.’에서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역시 11곳이나 되는 해외법인을 멕시코(6곳)와 캐나다(5곳)에 각각 세워 사업을 영위 중이다. ㈜포스코가 지배하는 ‘POSCO MPPC S.A. de C.V.’를 통해 철강 사업을 하는 중이고, 캐나다에서는 ㈜포스코퓨처엠가 세운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 법인에서 양극재 제조 및 판매 사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 ▲LS(7곳) ▲CJ·GS·넷마블·현대백화점(각 6곳) ▲SK·네이버·효성(각 5곳) ▲두산·한국앤컴퍼니·에코프로(각 3곳) 순으로 3개 이상의 법인을 두고 있다.
이 중 멕시코에서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주요 기업에는 ▲LS Cable & System Mexico(전선 제조업, LS그룹) ▲LS EV MEXICO S.A. DE C.V.(전기차 부품 제조업, LS그룹) ▲GST Safety Textiles Mexico S. de R.L. de C.V(에어백 쿠션 및 원단 제조 및 판매업, 효성그룹) 등이 포함됐다.
캐나다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주요 법인 중에는 ▲EcoPro CAM Canada General Partner Inc.(축전지 제조업, 에코프로그룹) ▲EcoPro CAM Canada, L.P.(축전지 제조업, 에코프로그룹) ▲Hyundai L&C Canada Inc.(건축자재 제조 및 판매, 현대백화점그룹) 등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관세의 장벽이 높아졌다고 단기간에 미국으로 공장 이전을 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를 늘리거나 미국을 제외한 이웃 국가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하는 방식으로 일정 부분 관세 충격파를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