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1Q 순이익 6156억원(YoY -25.2%)
보통주비율 12.42%(QoQ +30bp)...연간 목표 12.5%에 다가가 분기 배당금 주당 200원(YoY +11%)...대손충당금, 퇴직금 등 비용↑
우리금융그룹이 25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우리금융은 6156억원의 분기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일회성 비용과 미래성장 투자 확대에 따른 판관비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은 감소했으나,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등 그룹의 수익 창출력은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 갔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1분기는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자본적정성을 대폭 제고했고, 분기배당 선진화 절차 도입 등 주주친화정책도 적극 이행했다”며, “2분기에는 증권사 영업을 본격화하고, 알뜰폰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해 그룹의 수익 창출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연간 CET1 목표 달성 해 주주환원 약속 지킬 것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42%로 고환율 등 어려운 금융환경 속에서도 자산 리밸런싱 등 효율적인 자산 관리 노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약 30bp 상승했으며, 올해 시장과의 약속인 12.5% 목표 조기 달성에 다가가고 있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1분기 배당금을 전년 대비 11% 증가한 주당 200원으로 결정했다. 연초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를 전년보다 약 10% 증액한 1500억 수준으로 확대했으며 분기 배당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등 주주환원에 노력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우리금융은 '상호관세 피해 지원 TF'를 가동해 임종룡 회장이 직접 상황 점검과 지원대책 마련 등을 챙기고 있다.
급격한 환율 변동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유동성 모니터링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동시에, 상호관세로 인해 피해를 입은 기업·소상공인을 위해 순차적으로 약 10.2조원 규모의 맞춤형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통해, 시장 안정화에 기여하며 금융의 사회적 역할 수행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 우리투자증권 종금 라이선스 활용해 중대형 증권사와 경쟁...증자는 고려 안해
이날 실적설명회에서는 새로 인수한 우리투자증권에 관한 질문들이 이어졌다.
향후 강점인 IB영업을 확대하기 위해 증자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성욱 CFO는 "우리투자증권은 종금 라이선스를 보유한 장점을 통해 중대형 증권사와 경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2년전 5000억원 수준의 증자를 마친 만큼 단기 내 증자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IB부문 중 DCM(채권자본시장) 부문과 대체투자 등을 다각화하고 S&T 조직 구성을 통해 다양한 투자상품을 개발할 것"이라며, "MTS 출시로 종합 증권사로서 그룹 시너지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룹 내 다른 계열사들은 자산 리밸런싱을 통해 위험관리를 해나가는 반면 위험자본은 증권 부문에 집중한다는 것이 우리금융의 복안이다.
◆ 5월중 알뜰폰 활용한 통신과 금융 결합상품 출시...비대면 채널 통한 고객 흡수
4월 중 오픈한 알뜰폰 관련 질문도 나왔다.
그룹 디지털총괄(CDO)은 "알뜰폰은 비대면 채널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이들을 금융고객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가입 고객의 60% 이상인 2030고객은 물론 기존 고객의 활성화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5월부터 적금 등 원뱅킹 내에서 통신과 금융을 더한 결합상품을 통해 브랜드 파워를를 강화하고 높은 보안 수준 내에서 고객 확대를 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