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모든 기관 최근 3년간 법인카드 내역 전수조사
최근 공금 횡령 사건에 대책 발표 이중 점검 체계 마련·부정사용 엄중 처벌
최근 연이은 공금 횡령 사건이 발생하자 부산시교육청이 회계 시스템 전반에 대한 대책을 내놨다.
부산시교육청은 잇단 공금 횡령 사건의 원인이 법인카드 사용관리 미흡과 지출업무 처리 과정에서의 관리자 점검 소홀에 있다고 보고, '회계사고 근절을 위한 종합 개선대책'을 10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회계 처리 과정 이중 점검 관리체계 강화, 법인카드 사용관리 강화, 회계 필수 이행사항 점검 정례화, 횡령 등 유사 사례 적발 시 처벌 강화, 회계 관계 공무원 청렴·윤리의식 제고 등이다.
우선, 회계 처리 과정에서 관리자와 출납원이 이중으로 점검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관리자가 매월 현금출납부를 의무적으로 확인하도록 하고, 계좌 개설 및 해지 시 담당자 이외 출납원을 의무적으로 지정하도록 했다.
또한 학교 적립금은 잔고증명서 외 거래내역서도 함께 보고하고, 심야시간대(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했다.
이어 매월 카드 지출부와 카드 명세서, 카드 계좌를 서로 대조·확인하는 절차도 의무화된다.
이밖에도 회계 필수 이행사항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해 회계 투명성을 확보하고, 유사 사례가 발생하면 관련자를 엄중히 문책하는 등 공직기강을 확립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이번 개선대책과 함께 학교를 포함한 산하 전 기관에 대한 최근 3년간 법인카드 사용 내역 전수조사에도 착수했다.
이상거래 내역이 발견되면 즉시 감사를 의뢰하고, 해당 기관에는 별도의 컨설팅도 실시할 예정이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이번 개선대책은 주로 내부통제 강화와 청렴 인식 개선을 목표로 했다"며 "이러한 대책들이 현장에 잘 안착될 수 있도록 이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것이며, 온 힘을 다해 부산교육 정상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부산시교육청 소속 직원 2명이 10억원 규모의 공금을 횡령한 사실이 잇달아 드러나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해운대교육지원청 소속 공무원은 법인카드와 상품권 환전 등으로 8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서부교육지원청 소속 공무원은 상품권 현금화를 통해 2억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부산=이효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