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 상장폐지 갈등 격화.. 위메이드, 법적 공방이 최선일까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법에 항고장 제출…서울고법서 심리 예정 법정으로 번진 위믹스 논란…시장 신뢰, 실천으로 증명해야할 때
위메이드가 자회사 위믹스의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 효력정지 가처분 기각에 불복해 항고 절차에 돌입했다. 법원의 판단 이후 열흘 만에 다시 법적 대응에 나선 것으로, 거래소의 결정이 부당하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하며 갈등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이번 항고가 위믹스 생태계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는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항고장을 제출했으며, 해당 사건은 서울고법에서 재심리될 예정이다. 앞서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는 지난달 30일 위메이드가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소속 4개 거래소(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를 상대로 제기한 거래지원 종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위믹스 측이 해킹 피해 발생 이후 이를 즉시 공시하지 않은 점과 보안 사고의 세부 경위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판단 근거로 들며 거래소 측의 손을 들어줬다. 위믹스는 이달 2일부터 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주요 거래소에서 거래가 종료됐고, 내달 2일부터는 출금 서비스도 중단될 예정이다.
위메이드는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면서도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이어가고 있다. 위메이드 측은 “DAXA가 상장폐지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판단 기준과 논의 내용이 명확하게 공유되지 않았고, 소명 기회도 충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업계 일부에서도 DAXA의 결정 방식에 대한 이견이 나온다. 위믹스가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 구체적인 개선 요구나 공식 협의 없이 곧바로 상장폐지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해당 거래소 자율규제 수준을 넘어선 강제성으로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위메이드 역시 관련 절차가 사실상 통보에 가까웠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 2월 말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플랫폼 ‘플레이 브릿지’에서 약 90억원 규모의 코인이 유출된 사건에서 비롯됐다. 위메이드는 이 사실을 3월 4일 공지했고, 공시 지연 여부가 거래소 측의 핵심 판단 요소로 작용했다.
그후 DAXA는 위믹스를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고 내부 검토 끝에 상장폐지 결정을 내렸다. 위믹스는 앞서 2022년에도 유통량 공시 오류 문제로 상장폐지를 겪었으며 약 3개월만에 일부 거래소에서 재상장한 전례가 있다.
◆‘투명성 자문단’ 예고…위믹스 생태계 내 신뢰 회복 위한 구조 개편 시동
위메이드는 이번 항고 외에도 위믹스 생태계의 구조적 투명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 ‘투명성 자문단’ 구성을 예고했다. 지난 2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김석환 위믹스 재단 대표는 자문단을 장기 보유자 및 대량 보유 홀더 중심으로 구성하고, 반기 1회 정기 간담회를 통해 재단 운영 현황과 사업 전략을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김 대표는 “자문단을 생태계 참여자 의견을 반영하는 창구로 활용해 신뢰 회복에 나서겠다”며 “위믹스 재단은 위메이드를 위한 조직이 아니라 홀더를 위한 재단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런데 현재까지 자문단의 구체적인 구성 시점이나 운영 방향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위믹스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확정된 내용이 없으며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준비가 완료되는 대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부 투자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위메이드의 항고를 위믹스 생태계 유지를 위한 재단의 의지로 해석하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단순한 법적 대응을 넘어 프로젝트 지속 의지를 나타내는 상징적 행보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편 위메이드는 항고 외에도 해외 거래소 상장 확대와 보안 시스템 강화, 내부 통제 재정비 등 추가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장의 관심은 법적 공방보다는 위믹스가 투명성 개선과 구조적 신뢰 회복에 얼마나 실질적으로 나설 수 있느냐에 있다”며 “거래 재개 이전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임소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