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첫 정상회담, 관계개선 '신호탄'
이 대통령 G7에서 이시바 총리와 첫 정상회담 경제·안보 협력 논의, '셔틀외교' 재개 약속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 취임 후 이 대통령 취임 후 14일 만이다.
이번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기 귀국으로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된 상황에서 G7 방문의 성과를 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브리핑에 따르면 양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상호 존중과 신뢰 책임 있는 자세를 바탕으로 속한 한일 관계를 만들어 나가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는 올해 양국 국민들 간의 활발한 교류 흐름에 주목하면서 당국 간 의사소통도 더욱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양 정상은 향후에도 직접 만나 한일 관계 발전 방향을 비롯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기로 했다.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9일 첫 통화에서 '성숙한 한일 관계'를 만들어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대통령 회담에서 국제통상환경과 현황에 대한 어려움을 진단하고 일본과의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에서는 일본과 한국과의 관계를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도 한다"며 "마치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집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친밀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작은 차이들이 있지만 그런 차이를 넘어서서 한국과 일본이 여러 면에서 서로 협력하고 서로에게 도움 되는 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대통령 취임 축하 인사를 먼저 건네며 '한일 공조'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올해는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대단히 기념비적인 해"라며 "양국 간 협력과 공조가 이 지역, 세계를 위해 더 많은 도움이 되는 관계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시기부터 '실용 외교'를 강조하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민감한 과거사 문제 해결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재명 정부에서 경제 협력과 한미일 안보 협력을 다지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는 풀이다.
외교 전문가로 알려진 조국혁신당 김준형 의원은 이번 회담의 의미를 '한일관계 대전환'으로 해석했다.
김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해는 을사늑약 120년, 해방 80년, 한일 수교 60년을 맞는 특별한 해"라며 "이 역사적 의미를 새기며, 한일 관계를 깊이 돌아보고 성찰하여, 더 늦기 전에 과거의 질곡을 넘어서는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썼다.
이날 오후에는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한일 양국의 석학들이 모여 '한일관계 대전환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연다. 김 의원은 "통합과 실용, 공존과 화해를 향한 여정의 출발선에 선 새 정부에게, 현실적인 조언과 방향, 한일 관계의 새로운 미래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와의 회담을 마친후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EU 지도부과 연달아 회담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