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협상 총력전..."국익에 여야 없다"

정부, 위성락 방미 후속 조치 본격화 김종인 등 대미특사단 파견 검토 김병기 "관세 문제가 정쟁 소재 되면 안돼" 송언석 "정상회담으로 협상 주도해야"

2025-07-09     설인호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9일 오전 국회에거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앞두고 정부가 총력 대응에 나선 가운데, 여당이 야당을 향해 초당적 협력을 요청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금은 대한민국 산업과 수출 경제를 지키는 중요한 기로"라며 "이럴 때일수록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정부가 제대로 협상할 수 있도록 국회도 힘을 모아야 합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상호관세 문제가 정쟁의 소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며 "국익을 위한 협력에는 어떤 조건도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전한 서한에서 오는 8월 1일부터 25% 관세 발효를 예고한 바 있다.

정부는 자동차·철강·전기장비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 혹은 유예 연장을 목표로, △비관세장벽 완화 협의 △전략산업 협력 패키지 제안 △정상급 외교 동원 등 ‘3단계 통상외교 전략’을 가동 중이다.

정부와 관련업계에서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는 자동차·철강·전기장비 등 470억 달러 규모의 수출 품목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지난 6일 미국 워싱턴으로 급파됐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귀국 예정이다. 위 실장은 이번 방미 기간 중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담을 가진 데 이어, 미 의회 및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사들과도 연쇄 접촉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이 귀국하는 대로, 정책실과 안보실 간 공동 회의를 열고 협상 상황을 종합 점검한 뒤, 후속 대응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향후 정상급 외교 전략과 여야 공조 방안 등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민주당 이언주·김우영 민주당 의원 등으로 구성된 특사단을 미국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민의힘은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협상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원내대표회의에서 "특사단 파견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신속한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 위원장은 "새 정부 출범 후 한달의 시간이 지났는데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에 관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다만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노력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이달 내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