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AI 대화'.. 롯데이노베이트, 아이멤버 3.0 혁신 공개
AI 에이전트 구조로 완전히 새롭게 재설계 맞춤형 핵심 서비스, 업무 혁신 가능성 입증
AI 플랫폼,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선 어떻게 달라지는 걸까.
롯데이노베이트가 지난 18일 롯데호텔 월드에서 개최한 ‘LOTTE AI Showcase 2025’ 현장에선 이런 궁금증이 자주 들려왔다. 행사의 중심에는 새롭게 공개된 비즈니스 맞춤형 AI 에이전트 플랫폼, ‘아이멤버 3.0’이 있었다.
이번 행사는 AI가 실제로 어떻게 기업 내 다양한 업무에 접목되고, 또 그 결과로 얼마나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리가 됐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Almazing Action’이었다. 롯데이노베이트가 그간 그룹 차원에서 쌓아온 AI 기술 내재화 성과와 산업별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아이멤버 플랫폼의 고도화 전략까지 폭넓은 내용이 한 공간에 펼쳐졌다.
롯데그룹 임직원, 대외 고객, 업계 전문가가 참석한 행사장에서는 개발자들이 직접 기술의 핵심 구조를 설명하고, 실시간 AI와 대화 시연, 그리고 건설, 금융, 제조 등 각 산업별 업무 혁신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실제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에는 “이런 일이 정말 가능한가?”라는 놀라움이 곳곳에서 새어 나왔다.
롯데이노베이트 김경엽 대표이사는 이날 “‘롯데이노베이트는 그룹 내 다양한 IT와 산업군을 관통하며 업무 혁신을 실현해왔다. 지속적인 AI 기술 고도화를 통해 아이멤버가 국내를 대표하는 AI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신감의 바탕에는 2년여간 7만 명에 달하는 활성 사용자와 다수 계열사에서 실전 검증을 거친 경험, 오픈소스 기반의 독자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직접 개발해온 내재화 역량이 있다. 실제로 롯데의 LLM은 한국어 평가 리더보드에서 장기간 1위를 기록하며 그 우수성이 객관적으로 입증됐다고 한다.
‘아이멤버 3.0’이 이전과 확연히 다른 점은 ‘AI 에이전트’ 개념의 전면 도입이다. 플랫폼 구조가 아예 재설계됐고, 실무 현장에서 수집한 피드백이 대폭 반영됐다.
핵심 기능은 크게 6가지로 구분된다. ▲AI 비서(챗봇) ▲AI 회의록 ▲AI 보고서 ▲비전 스튜디오(이미지 생성 및 편집) ▲보이스 메이커(음성 생성 및 합성) ▲체크메이트(문서 점검 및 검토)다. 각각의 에이전트는 실제 사용 목적별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기업용 업무 자동화에 최적화돼 있다.
AI 비서 에이전트는 롯데이노베이트가 자체 개발한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와 밀접하게 연동된다. Agentic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이 도입되어, 이용자가 문서나 웹페이지를 직접 입력하면 AI가 이를 참고해 더욱 정확하고 맥락에 맞는 답변을 생성한다.
단순 챗봇 수준을 뛰어넘어, 외부 API까지 호출하고, 여러 챗봇을 한 대화방에서 목적으로 따라 자유롭게 불러올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시각화해 직관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AI 보고서 에이전트는 기존 텍스트 나열 방식에서 벗어나, 자동 인포그래픽 생성기능이 새로 적용됐다. 이는 복잡한 데이터나 보고서를 보다 입체적이고 시각적으로 빠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랫폼 전체적으로도 사용자 환경(UI·UX)을 전면적으로 개선했고, 보안 체계도 한층 고도화해 기업 환경에서의 안정성과 실효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반응은 현장에서도 바로 확인됐다. 한 참석자는 “예전엔 AI가 단순 도우미 정도라 생각했는데, 이제는 실질적인 업무 도구로 자리잡았다”며 놀라움을 표했다.
이 플랫폼은 회의 내용을 자동 요약해 담당자에게 후속 업무를 넘기거나, 대량의 자료로 기획안을 생성한 뒤 체크메이트 에이전트가 검토하는 등, 기획부터 결과물 제작·검토·시각화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일사불란하게 이뤄진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앞으로 아이멤버 플랫폼을 비즈니스 전반의 AX(Agent Experience) 확장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기업별 맞춤형 컨설팅부터 개발, 운영까지 모든 산업 현장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B2B는 물론 공공·해외 시장까지 적극적인 진출을 예고했다. 김 대표는 연내 고객사를 300개, AI 매출 비중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