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논란에 민주당 내 기류 변화…"검증 시스템 정비" 목소리도

이언주 "국민 기대 못 미친 부분 송구… 인사 기준 명확히" 김상욱 "당 분열·고립 느낌… 강선우 결자해지해야"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국민 10명 중 6명 '부적합'

2025-07-23     설인호 기자
강선후 의원(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된다.

당 지도부의 방어 기조는 유지되고 있지만, 의원들 사이에서 엇갈린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다만 여권이 주장하는 '자진 사퇴'나 '임명 철회'와 같은 직접적인 조치보다는, 후보자의 직접 해명과 인사 시스템 개선 필요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결정했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대응과도 대비된다. 강 후보자 인선에서도 '현역 불패' 신화가 다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정부 인선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고, 일부 인사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인수위 없이 출범하다 보니 인사 검증 시스템 등에서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여당 지도부로서 송구하다"고 말했다.

이어 "차제에 인사 검증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 통합을 내세운다면 그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 특히 고위 공직자 인사에서는 통합의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상욱 의원도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의 직접적인 해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강 후보자 문제로 당이 분열되고 고립돼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국무위원 자격에서 하자가 생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자해지의 심정으로 후보자께서 직접 나서야 한다"며 "기자회견을 자청하든, 의혹을 소명하고 진심 어린 반성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원들 간 입장차도 두드러진다. 이소영 의원은 전날(22일) 페이스북을 통해 문진석 원내운영수석의 발언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앞서 문 수석은 CBS 라디오에서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의 갑질은 성격이 다르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특수 관계라 괜찮다거나 보좌진은 일반 노동자와 다르다는 주장은 노동 감수성을 강조해 온 민주당에 걸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사실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강 후보자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확한 사실관계를 어떤 기관도 규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정책 경험이 부족한 젊은 정치인에게 기회를 주는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한 상태다. 시한은 오는 24일까지로,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야권의 반발과 함께 국정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게 갑질 논란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적합도에 대해 유권자에게 물어본 결과 '적합 32.2% vs 부적합 60.2%로 집계됐다.  ©스트레이트뉴스

강 후보자 인선을 바라보는 국민들 여론도 부정적으로 기울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업체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9~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0.2%가 강 후보자에 대해 '부적합'하다고 응답했다. '적합' 응답은 32.2%에 그쳤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적합' 응답이 53.9%로 '부적합'(39.2%)보다 높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88.4%가 '부적합'이라고 답했다. 무당층에서는 부정 응답이 73.0%였다. 

지역별로도 전 권역에서 '부적합' 응답이 우세했다.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호남권의 '적합' 응답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광주·전라 지역에서도 '부적합' 의견이 53.7%로 더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 성향 응답자 중 49.2%가 강 후보자를 '적합'하다고 본 반면, 보수 성향에서는 75.9%가 '부적합'하다고 응답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해당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