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2분기 매출 3조1794억·영업손실 3978억…"중장기 성장 이룰 것"
삼성SDI가 올해 2분기 매출 3조1794억원, 영업손실 397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31일 발혔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664억원이 이번 영업이익에 반영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2%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대신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0.1% 늘었고 손실 규모는 소폭(8.4%) 줄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배터리 부문의 매출은 2조961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0.7%, 전년 동기 대비 23.5% 각각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430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8% 줄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적자 전환했다.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BBU(분산형 배터리 유닛)용 매출이 증가했으나 주요 고객의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 분기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 회복 지연에 따른 고정비 부담 지속과 관세 영향으로 인한 ESS용 배터리 수익성 하락 등에도 불구하고 소형 배터리 부문의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손실 규모는 소폭 감소했다고 삼성SDI는 설명했다.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218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1.4%, 전년 동기 대비 2.4% 각각 늘었다. 영업이익도 33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증가했다. 주요 고객사의 신규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 판매와 반도체 웨이퍼 생산 증가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삼성SDI는 하반기에는 매출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수익성도 일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나 거시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따라 대응 마련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에 전기차용 배터리 부문은 미국 내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SPE'의 라인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요 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각형 LFP 배터리 등 다양한 케미스트리 신제품을 통해 보급형 전기차 시장의 수주를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다.
ESS용 배터리 부문은 앞서 미국 내 전력용 ESS 프로젝트 수주 계약을 체결한 데 따라 현지 양산 체제를 확보해 연내 생산을 개시하는 한편 국내 전력망 안정화 프로젝트를 통해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최근 진행된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과 관련해 다수의 프로젝트를 확보한 상태다.
또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 확대와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증가 등에 대응해 전력용 LFP 및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초고출력 배터리의 수주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소형 배터리 부문은 BBU용 고출력 배터리의 매출을 확대하고 신규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를 출시해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판매를 늘릴 예정이다.
이밖에 전자재료 부문은 OLED 및 반도체 소재의 수요 증가에 따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신규 플랫폼에 적기 공급하고 신제품 진입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어려운 시장 여건 속에서도 핵심 사업 전략들을 차질없이 실행해 실적 회복과 중장기 성장을 이루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