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다시 ‘경고등’…은행권 “총량관리 비상”
8월 들어 한 주 만에 가계대출 약 2조원 늘어 신용대출 증가...공모주·잔금대출·선수요 복합 작용
8월 들어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불과 한 주 만에 가계대출이 약 2조원 가까이 늘자, 각 은행은 축소된 하반기 총량 목표 안에서 추가 통제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7월 말(758조9734억원)보다 1조9111억원 증가했다. 하루 평균 약 2730억원 늘어난 속도다.
이는 ‘6·27 가계대출 관리 방안’ 이후 증가세가 둔화했던 7월(일평균 1335억원)의 두 배를 넘고, 6월(2251억원)보다도 479억원 많다. 이 추세가 월말까지 이어지면, 작년 8월(+9조6259억원) 이후 가장 큰 월간 증가가 예상된다.
세부 항목을 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은 604조5498억원으로 한 주 사이 5796억원 늘었다. 일평균 약 725억원 증가해 7월(일평균 1466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반면 신용대출은 103조9687억원에서 105조0380억원으로 1조0693억원 급증하며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
증가 요인으로는 공모주 청약 자금 수요, 6·27 이전 체결된 주택 거래의 잔금대출 집행, 추가 규제에 앞선 선수요가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은행권은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가 약 50% 줄어든 상황에서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최근 다수 은행이 대출모집인(대출상담사)을 통한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을 제한한 것이 대표적이다.
하나·농협·신한은행은 현재 9월 실행 예정분에 대해 모집인 접수를 받지 않고 있고,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과 무관하게 모집인 통한 주담대·전세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신한은행은 지역·대상별 규제도 강화했다.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소유권 이전 등 조건부 전세대출을 취급하지 않기로 했고,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도 전국에서 막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